소개글
"서사재료의 종류 및 특징, 발전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애니메이션의 개념과 특성
1.1. 애니메이션의 정의
1.2. 애니메이션의 역사
1.3. 애니메이션의 특징
1.4. 애니메이션의 분류
2. 애니메이션의 미학
2.1. 애니메이션의 미적 원리
2.2. 애니메이션의 소리와 색채
3. 이슬람의 문학과 예술
3.1. 문학과 예술에 대한 이슬람적 이해
3.2. 이슬람의 문학
3.3. 이슬람의 예술
4. 서지학의 이해
4.1. 서지학의 정의
4.2. 서지학 연구방법
4.3. 동양의 서지학 발달
4.4. 서양의 서지학 발달
4.5. 동양 서지학 체계
4.6. 서양 서지학 체계
4.7. 종이 이전 동양 기록매체
4.8. 서양의 기록매체
4.9. 새로운 기록매체
4.10. 동양 도서의 장정
4.11. 서양의 도서 장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애니메이션의 개념과 특성
1.1. 애니메이션의 정의
애니메이션(animation)이란 단어를 사전에서 그 뜻을 찾아보면 생기, 활발, 영감을 불어넣기, 동화(動?, animated cartoon) 등으로 풀이되어 있으며, 애니메이션(Animation)의 Anima는 생명, 영혼을 뜻하는 라틴어이다. 사전의 해석과 그 어원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애니메이션이란 것은 움직이지 않는 그림 혹은 고정되어 있는 사물에 '생명'을 불어 넣는다는 뜻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한 컷씩 촬영한 이미지(frame by frame), 즉 '프레임 촬영'을 통하여 그림이나 사물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영화의 하위 개체이며, 만화나 추상미술 혹은 종이나 셀, 컴퓨터를 활용하여 제작된 특수 효과 등의 넓은 영역을 포괄하는 장르이다.
1.2. 애니메이션의 역사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인간의 현실감에 대한 호기심을 표현하려는 노력이 토대가 되어 발전해왔다. 움직임을 표현하고자 했던 초기의 시도들은 벽화와 조각 등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현실세계의 모습을 평면에 담아내는 기술이 발전했다.
19세기에 들어서 사진술이 발명되면서 움직임을 포착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졌는데, 마이브리지와 마레 등의 연구자들은 연속사진을 통해 움직임을 분석하고 기록하였다. 이후 영화의 등장으로 움직이는 이미지를 담아내는 기술이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20세기 초반 할리우드 영화와 유럽의 영화 운동들은 영화의 기본적인 문법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애니메이션은 영화와 맥을 같이하면서도 이미지를 직접 창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영상을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이미지로 표현하는 방식을 통해 발전해왔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운동의 표현과 이미지의 창조를 핵심으로 한다.
초기 애니메이션은 정지 동작의 이미지를 연결하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촬영 기술에 기반하였다. 페나키스토스코프, 조에트로프 등의 장치들이 이러한 애니메이션의 초기 형태를 보여준다. 이후 플립북, 드로잉 온 필름, 스크래칭 온 필름 등의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한편 애니메이션은 촬영 과정이 필요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된다. 촬영 과정이 필요한 애니메이션에는 종이 애니메이션, 절지 애니메이션, 셀 애니메이션, 페인트 온 글라스 애니메이션, 핀 스크린 애니메이션 등이 있으며, 평면 및 입체 애니메이션으로 나뉜다. 촬영 과정이 필요 없는 애니메이션에는 플립북, 드로잉 온 필름, 스크래칭 온 필름 등이 있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해 2D와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이 등장하면서 애니메이션 제작 기술이 크게 발전하였다. 특히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은 현실감 있는 캐릭터와 특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인류의 움직임에 대한 호기심과 표현 욕구가 발전해온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정지된 이미지를 움직이는 것처럼 표현하려는 노력이 다양한 기술적 발전을 거치며 오늘날의 애니메이션 예술로 이어져 왔다.
1.3. 애니메이션의 특징
애니메이션은 움직이지 않는 그림 혹은 고정되어 있는 사물에 '생명'을 불어 넣는다는 뜻이며, 영화의 하위 개체로 각각의 이미지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영상의 큰 흐름에 종속된다"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영상(one-frame)을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영상(moving image)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영화와 만화가 존재한다.
애니메이션과 영화가 움직이는 이미지라는 점에서 만화는 정지된 이미지라는 것에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애니메이션과 만화는 창조된 이미지라는 것에서 영화와의 차이를 보인다.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는 현실의 개입과 관련을 벗어날 수 없는 야생적 이미지에 해당하며, 전적으로 제작자의 통제 하에 있는 길들여진 이미지의 성격도 지닌다. 애니메이션의 프레임은 만화와 유사하게 공간 지배적 성격을 가지며, 영화와는 달리 가변적인 특징을 보인다.이처럼 애니메이션은 영화와 만화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독특한 장르로, 움직이는 이미지를 통해 현실과는 다른 새로운 세계를 표현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제작 방식과 표현 기법은 이미지의 성격과 프레임의 특징에서 잘 드러나며, 이는 애니메이션만의 고유한 미학적 특성을 형성하고 있다.
애니메이션은 현실감의 재현에 대한 인간의 오랜 욕구에서 비롯되었으며, 벽화와 조각, 사진, 영화 등의 발전 과정을 거치며 독자적인 장르로 발전해왔다. 특히 정지된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영상으로 구현한다는 점에서 영화와 유사하지만, 창조된 이미지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만화와도 공통점을 지닌다.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는 현실적인 재현과 구현을 넘어서, 작가의 상상력과 표현 의도에 따라 새로운 시각적 세계를 보여줄 수 있다. 이는 애니메이션이 야생적 이미지와 길들여진 이미지의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애니메이션의 프레임은 가변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만화의 공간 지배적 성격을 공유하면서도 영화의 고정된 프레임과는 구별된다.
이처럼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장르적 특성을 바탕으로 고유한 미학적 언어를 구축해왔다. 움직이는 이미지를 통해 현실과는 다른 새로운 세계를 창조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의 힘은 바로 이러한 장르적 특성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1.4. 애니메이션의 분류
애니메이션의 분류는 크게 '촬영과정이 필요 없는 애니메이션'과 '촬영과정이 필요한 애니메이션'으로 나뉜다.
촬영과정이 필요 없는 애니메이션은 카메라리스(cameraless, noncamera) 애니메이션, 다이렉트 애니메이션(direct animation) 또는 핸드메이드(hand-made) 애니메이션으로도 불린다. 이 유형의 애니메이션은 영화가 발명되기 전부터 존재했던 초창기 애니메이션이 모두 이 영역에 속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페나키스토스코프(Phenakistoscope), 조에트로프(Zoetrope), 플립북(flip book)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영화 제작에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도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반면 촬영과정이 필요한 애니메이션은 평면 애니메이션(2D animation)과 입체 애니메이션(3D animation)으로 구분된다. 평면 애니메이션은 다시 종이 애니메이션(paper animation), 절지 애니메이션(cut-out/cutting animation), 셀 애니메이션(cell animation), 페인트 온 글라스(paint-on-glass), 핀 스크린(pin-screen) 등으로 나뉜다. 한편 입체 애니메이션은 인형 애니메...
참고 자료
애니메이션의 장르와 역사 – 저자 이용배
다큐멘터리 - 인간과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의 미학 – 저자 박성수
다큐멘터리 - The Cutting Edge The Magic Edit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이규원 옮김, 『하룻밤에 읽는 중동사』(랜덤하우스코리아, 2008).
정수일 지음, 『이슬람문명』(창비, 2002).
이희수, 『이희수 교수의 이슬람: 9.11 테러 10년과 달라진 이슬람세계』(청아출판사, 2011).
김정위, 『중동사』(개정판) (대한교과서, 2005).
버나드 루이스, 이희수 옮김, 『중동의 역사』(까치, 1998).
버나드 루이스, 김호동 옮김, 『이슬람 1400년』 (까치, 2001).
앨버트 후라니, 김정명, 홍미경 옮김, 『아랍인의 역사』 (심산, 2010).
후지모라 신, 정원창 옮김, 『중동 현대사』 (소화,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