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예비간호사의 성장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제한인간호재단의 글로벌 간호 리더십 프로그램
1.1. 국제한인간호재단의 미션과 비전
1.2.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제보건 리더십 프로그램(GLP)
1.3. 현직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국제보건 전문가 과정(GPHO)
2. 대한간호협회의 간호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2.1. KICN 간호리더십센터 설립 및 활동
2.2. ICN Leadership for Change(LFC) 프로그램 운영
2.3. 차세대 글로벌 간호리더십 교육프로그램
2.4. 간호대학생 영리더스 아카데미 운영
3. 한국 간호 교육의 역사
3.1. 우리나라 간호 교육의 발전 과정
3.2. 3년제 간호학교 교육의 변화
3.3. 4년제 간호 교육 과정의 도입
3.4. 3년제와 4년제 교육의 이원화 한계
3.5. 대학원 간호 교육 과정의 발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제한인간호재단의 글로벌 간호 리더십 프로그램
1.1. 국제한인간호재단의 미션과 비전
국제한인간호재단의 미션과 비전은 간호전문직의 글로벌 리더십 향상과 지구촌 건강사회 구현을 위한 간호의 사회적 책임 실현이다. 국제한인간호재단은 2003년 전 세계 한인 간호사들의 네트워크 구축과 간호학 학문 및 임상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를 위해 국제보건과 간호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간호 전문가와 예비 간호 인력의 역량 개발에 힘쓰고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간호 인력 양성과 국제협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1.2.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제보건 리더십 프로그램(GLP)
국제한인간호재단은 2003년 전 세계 한인 간호사들의 네트워크 구축과 간호학 학문 및 임상발전을 위한 한인 간호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국제한인간호재단의 미션과 비전은 간호전문직의 글로벌 리더십 향상과 지구촌 건강사회 구현을 위한 건호의 사회적 책임 실현이다.
국제한인간호재단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간호 및 보건 계열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제 보건 및 국제 개발협력(ODA)분야의 전문 인재 육성을 위한 GLP(Global Leadership Program)를 운영하고 있다. GLP는 국제보건에 관심을 갖고 있는 간호대학생들에게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제공하고, 글로벌 간호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리더십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이다. 국제한인간호재단은 2014년 제1기 탄자니아 GLP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12회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420여명의 간호대학생이 수료하였다. GLP의 주요 활동으로는 현지 간호대학 및 보건의료기관 방문, 지역사회 보건사업 참여, 관련 특강 및 워크숍 참여, 문화교류 및 지역탐방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참여 학생들은 국제보건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국제보건 마인드와 리더십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이처럼 국제한인간호재단의 GLP는 글로벌 시대에 맞는 미래 간호 인재를 발굴하고 양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국제보건 리더십 프로그램이다. 간호대학생들에게 국제보건 분야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제공하여 글로벌 간호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1.3. 현직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국제보건 전문가 과정(GPHO)
GPHO는 현직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국제보건 전문가 과정이다. 국제한인간호재단은 현직 간호사 및 보건인의 국제 보건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해 GPHO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GPHO 프로그램의 목적은 현지 간호대학과의 교류를 통한 참여자들의 국제 역량 향상, 현지 지역 주민 및 청소년 대상의 건강증진 보건활동 수행, 아프리카 현지 보건 현황과 국제협력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유관기관 방문 등 국제보건 영역의 전문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현지 보건 및 간호대학과의 공동연구 진행이 가능하다는 점이 차별점이라고 볼 수 있다.
2020년 2월에 진행된 GPHO 프로그램의 주요 활동으로는 가나 UHAS 간호대 교수들과의 포럼, 현지 가정방문 및 지역사회보건실습, PHC-SDGs 관련 특강 및 워크숍 참여, 간호대학생 글로벌 리더십 프로그램(GLP) 활동 지원을 통한 Facilitator 역할 경험 등의 현지 활동, 가나 간호대/의대 견학, 가나 보건청, 주 가나 대한민국 대사관, KOICA와 KOFIH 사무소 방문 등의 유관기관방문, 가-한 Cultural Exchange Day, 주민 건강박람회 개최, 세계문화유산 방문 등의 문화교류 및 지역탐방이 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국내 평가보고회에서 현지 활동을 보고하고 GPHO 이수증을 지급받게 된다.
이처럼 GPHO는 현직 간호사들의 국제보건 역량을 강화하고,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현지 보건 분야 기관들과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국제보건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2. 대한간호협회의 간호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2.1. KICN 간호리더십센터 설립 및 활동
대한간호협회는 2015년 6월 23일 아시아 지역 간호사의 국제적 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KICN 간호리더십센터(KNA-ICN Center of Excellence for Nursing Leadership)를 설립하였다. KICN...
참고 자료
의대 2000명 증원은 의료말살?" 정부vs의료계 쟁점은?, 김영은 기자, 한경비즈니스, 2024.02.19.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402155043b
“의료대란 연착륙…PA간호사 조속한 입법화를”, 소정현 기자, 뉴스프리존, 2024.04.13.
https://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542
간호사 태움 사망사건 사태 확산 실형 이어 보호법 제정 촉구, 이정수 기자, 메디파나뉴스, 2023.01.13.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307227&sch_cate=M
간호사가 단독개원? 간호조무사 고졸만?…논란의 간호법 쟁점은, 김병규기자, 연합뉴스, 2023.05.1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44255?sid=100
국제한인간호재단 홈페이지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 대한간호협회
대한간호협회 간호인력 취업교육센터 홈페이지
정면숙외 10명, 『간호학개론』, 현문사 (2018)
이꽃메, 『한국근대간호사』, 한울아카데미(2002)
서울대학교병원 병원문화역사센터,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 의료문화사』, 웅진식하우스(2009)
최의순, 「한국간호의 현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권 3호, 2004
대한간호협회, 「1976년도 간호교육 실태조사」, 『The Korean nurse』, 16권, 1호, 1977
오가실 외 5명, 「한국 간호학박사교육의 역사적 흐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한국간호교육학회, 2014
김명자, 「간호교육과정틀에 관한 소고 – 돌봄과학과 보건정책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 제2권, 1995
변창자, 「간호 교육에 대한 일 연구–2년제 초급대학 과정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권, 3호, 1974
김애실(1972), 「간호교육에서 프로그램 학습의 적용에 관한 고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p.8 에서 발췌
변창자, 「간호 교육에 대한 일 연구–2년제 초급대학 과정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권, 3호, 1974, p.67에서 발췌
대한간호협회, 「1976년도 간호교육 실태조사」, 『The Korean nurse』, 16권, 1호, 1977, p.64에서 발췌
도복늠 (1974). 간호교육 과정에 관한 분석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p.83
서울대학교병원 병원문화역사센터,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 의료문화사』, 웅진지식하우스(2009), p.343
서울대학교병원 병원문화역사센터,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 의료문화사』, 웅진지식하우스(2009), p.344
“서울大學(대학)서歡迎會 (환영회) 美 (미)미네소타大學副總長 (대학부총장)”, 동아일보, 1956.08.07., 4면
서울대학교병원 병원문화역사센터,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 의료문화사』, 웅진지식하우스(2009), p.342
“서울大學(대학)서歡迎會 (환영회) 美 (미)미네소타大學副總長 (대학부총장)”, 동아일보, 1956.08.07., 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