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체육 수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영 지도 및 교육
1.1. 중년 여성의 건강 향상을 위한 수영 지도법
1.1.1. 준비운동 및 정리운동 프로그램
1.1.2. 수영 프로그램 구성
1.1.3. 수영 참여 중년 여성들이 선호하는 지도자 유형
1.1.4. 수영이 중년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1.2. 한국 수영 교육의 문제점
1.2.1. 수영 시설 부족
1.2.2. 레저 수영 위주의 교육과정
1.2.3. 부족한 수업 시간과 수영 전문 강사 부족
1.2.4. 체육 과목에 대한 낮은 인식
1.3. 한국 수영 교육의 활성화 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영 지도 및 교육
1.1. 중년 여성의 건강 향상을 위한 수영 지도법
1.1.1. 준비운동 및 정리운동 프로그램
스트레칭은 관절의 가동범위 내의 수준으로 이완시킨 뒤 그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방식으로 한다. 이 방식은 근육이 이완된 시점에서 빠른 속도로 적응하기 때문에 근육이 원상태로 돌아오는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근육의 반사적 수축력은 낮아지고 천천히 수축하게 되므로 근육통 발생 가능성이나 근육의 상해 위험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스트레칭은 어깨, 목, 팔, 다리, 등, 허리 등 신체 부위별로 골고루 구성한다.
준비운동(warming-up)은 본운동(main) 전 실시하며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심신의 상태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이다. 또한 아드레날린 분비, 심박수 증가, 근육 온도 증가, 젖산 제거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준비운동은 10분간 실시한다.
정리운동(cooling-down)은 본운동 마무리 후 실시하며 운동으로 인해 증가한 심신의 흥분을 진정시키고 피로를 회복할 목적으로 실시한다. 정리운동으로서 가벼운 전신운동을 하면서 혈액이나 림프액의 환류를 촉진하고, 축적된 피로물질과 젖산 등의 대사산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정리운동은 10분간 실시한다.
1.1.2. 수영 프로그램 구성
중년 여성의 수영 프로그램 구성은 다음과 같다.
중년 여성의 수영 참여 시 목, 팔, 다리, 허리 등 불편한 신체 부위가 없는지 자주 물어보고 이를 개별적으로 고려하여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년층은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관절이 약해지는 시기이며, 특정 신체 부위가 불편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생활 체육 중년 여성의 경우 신체 발달이 쇠퇴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학습 속도가 늦을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해해야 한다.
준비운동 후 본운동은 40분 실시하고 운동 종료 후 과도한 피로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60~70% 강도로 구성한다. 개인차를 고려하여 '가볍다 ~ 조금 힘들다'라고 느낄 정도로 강도를 유지한다. 본운동 중간에...
참고 자료
황인제(2012), 중년여성들의 수영참여만족이 여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두호(2011), 12주간 수영참여가 중년여성의 폐활량, 심박수 및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신명철(2006), 수영참여 중년여성의 지도자 지도유형에 대한 만족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경찬(2019), 수영운동이 중년여성의 코어근력과 건강관련체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전수영. 대한적십자사.
수상인명구조. 대한적십자사.
수영지도론. 육현철 저. 홍경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