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IQ(지능지수)와 다중지능이론을 비교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IQ(지능지수)와 다중지능이론의 개념
2.1. IQ(지능지수)의 개념
2.2. 다중지능이론의 개념
3. IQ(지능지수)와 다중지능이론의 비교
3.1. 창안 배경
3.2. 지능 측정 영역
3.3. 특징
4. IQ(지능지수)와 다중지능이론의 장단점 비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의 지능과 관련하여 20세기 중반 이전에는 IQ를 지능지수로 사용하였다. IQ 정도에 따라서 인간의 지능을 평가하였는데 20세기 중반 이후부터는 지능 이론 연구가들이 지능지수가 단일의 요소로 결정되지 않고 어떠한 영역의 지능을 높게 가졌는가에 따른 학업성취도 등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서 지능은 하나의 지적 능력만을 의미하지 않고 음악지능 또는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언어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등 다양한 영역의 능력을 의미하고 각 개인이 각 능력 영역에서 서로 다른 발달 수준을 가진 것으로 보았다. 본론에서는 인간의 지능과 관련하여 IQ과 다중지능이론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2. IQ(지능지수)와 다중지능이론의 개념
2.1. IQ(지능지수)의 개념
IQ(지능지수)는 인간의 정신연령과 지능 발달 정도가 어느 연령대 사람과 비슷한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지능지수가 높으면 실제 나이보다 높은 연령대와 비슷한 정신연령, 지적 능력을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이러한 지능검사는 1905년 프랑스의 심리학자 비네와 시몽이 최초로 사용했으며 현재 70여 가지 이상의 지능 검사가 존재하고 있다. 대표적인 검사로는 웩슬러 검사와 스탠포드-비네 검사가 있으며, 이들 검사는 대부분 개인의 잠재 능력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2.2. 다중지능이론의 개념
다중지능이론은 기본적으로 몇 가지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첫 번째는 지능이 단일한 능력요인 또는 다수의 능력요인으로서 구성된 하나의 지능으로 구성되지 않고 서로 별개로 구분되는 다수 지능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여기서 다수의 지능은 언어, 논리-수학, 공간, 음악, 신체-운동, 대인관계, 개인지각지능이 해당된다. 모든 인간은 각각 지능을 어느 정도 개발하는데 서로 같은 지능의 프로파일을 가지지 않고...
참고 자료
정진홍 외 1명,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의 실제」, 학지사, 2009.
김한중, 「교육심리」, 키메이커, 2016.
이선희,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행동 및 창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8.
송현주, 「발달심리학」, 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다중지능 (2007년 최신 완결판), 저자 하워드 가드너, 출판 웅진지식하우스, 2007.09.03.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2013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2
최영애,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음악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외대, 2006
보건복지부, “보육교사승급교육”, 2000
이진주, “한국형 다중지능검사의 타당성 연구”, 대구대, 2006
이기숙외, “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14
오연경,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유아영재의 언어, 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