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각 언어권별로 나타나는 학습자들의 오류를 밝히고 이에 대한 교육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발음상의 오류들은 대부분 모국어의 간섭현상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모국어에 없는 음소가 목표어에 있을 경우이거나 비슷한 음소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혀의 높낮이(또는 개구도)와 위치 그리고 입의 모양 등에 차이가 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한국어교육을 위해서는 교사가 학습자 모국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알고, 정확한 한국어의 음운을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음소 중 모음 발음에 있어서의 오류 현상과 원인 그리고 그에 따른 바람직한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2. 국어 발음 교육의 원리
2.1. 분절음과 초분절음
분절음은 연속된 언어 속에서 개별적으로 구분되어 지각될 수 있는 최소 단위의 소리이다. 즉, 자음과 모음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초분절음은 분절음을 구성하는 소리들의 집합체에 작용하여 언어의 의미와 기능을 전달하는 음성 자질로, 강세, 억양, 음높이, 장단, 리듬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완전한 발화는 분절음의 연쇄와 초분절음의 요소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2.2. 국어 발음 교육의 변천
국어 발음 교육의 변천은 크게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분법번역식 교수법에서는 문법 지식과 독해 능력이 중요했기 때문에 음성언어보다 문자언어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발음 교육은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그러나 직접교수법이 대두되면서 외국어 교육에서 발음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교수법에서는 원어민의 자연스러운 발화를 듣고 따라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후 청화식 교수법에서는 발음 교육을 더욱 강조했다"". 음성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정확한 발음을 교육하고, 최소대립쌍을 제시하여 변별력을 기르는 등 발음 교육에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서도 발음은 의사소통 능력의 한 측면으로 여겨져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상황 맥락을 고려한 발음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국어 발음 교육은 교수법의 변화에 따라 그 위상과 접근 방식이 변화해 왔다고 볼 수 있다"".
3.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국어 모음 발음 교육
3.1. 중국어와 한국어 모음의 대조 분석
중국어와 한국어 모음의 대조 분석이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모음 체계에는 차이가 있다. 중국어의 모음 체계는 전설모음 /i, y, e/, 중설모음 /ə/, 후설모음 /a, o, u/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에 한국어의 모음 체계는 단모음 /i, y, e, ə, a, o, u/, 이중모음 /je, wa, we, wi, ɥi, ju, uj, əi, əu/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큰 차이는 중국어는 단모음 체계가 상대적으로 단순한 반면, 한국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