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폐지해야 한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고교학점제 폐지해야 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교학점제
1.1. 고교학점제의 정의
1.2. 고교학점제 도입 배경
1.2.1. 교육적 필요성
1.2.2. 행정적 필요성
1.3. 해외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1.3.1. 미국의 고교학점제
1.3.2. 핀란드의 고교학점제
1.4. 한국의 고교학점제 도입
1.4.1. 도입 배경
1.4.2. 도입 취지
1.4.3. 시범 운영 현황
1.5. 고교학점제 도입의 한계
1.5.1. 교육 현실과 교육담론의 괴리
1.5.2. 제반적 한계

2. 고교평준화 정책
2.1. 고교평준화 정책의 개요
2.2. 고교평준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2.3. 고교평준화 정책의 한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교학점제
1.1. 고교학점제의 정의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과목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이수하고, 누적된 학점이 일정한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이다. 이는 선택형 교육과정의 최종적 형태라고 할 수 있다.""


1.2. 고교학점제 도입 배경
1.2.1. 교육적 필요성

찰스(Charles W. Eliot)는 미국 하버드대학교에 선택과목제도를 도입한 인물로, 학생들에게 획일화된 교육과정을 이수하기보다는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기를 원했다. 학생들에게 이러한 자유를 제공하기 위해 수강 결과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단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수업시간의 양'을 제시했다. 결국, 시간의 양이 학업성과의 판단기준으로 도입 된 것이 학점제(credit)의 시초가 되었다. 이는 교육적 필요성에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2.2. 행정적 필요성

단위제(unit)가 미국에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고교생의 폭증, 고교와 대학의 증가, 학생이동의 빈번, 고교 졸업생의 대학 진학 폭증에 따라 지원자의 학업 성취를 가늠하고 고교-대학 상호간 소통할 준거가 필요했기 때문에 고안되었다는 것이다. 즉, 고교 학습의 성과를 대학입학사정관에게 전달하기 위한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준거가 필요해서 단위제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1.3. 해외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1.3.1. 미국의 고교학점제

미국에서 학점제(credit)는 최초로 실시되었는데, 이는 교육적 자율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적 풍토 속에서 가능했다. 미국은 전통적으로 주(state)와 교육구(county)의 지방분권적 체계를 유지해왔으며, 전국 공통의 교육제도가 없어 각 주마다 교육에 관한 자율권이 있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고등학교 교과목과 대학 입학 요건은 주마다 다르고 다양한 것이 충분히 용인될 수 있었다. 단위제(unit)는 고교생 수의 급증, 고교와 대학의 증가, 학생 이동의 빈번함 등에 따라 학업 성취를 가늠하고 고교와 대학 간 소통할 준거가 필요하여 도입되었다. 즉, 특정 과목에 대해 모든 학교에서 동일한 시간과 교수법으로 가르치도록 요구한 것이 단위제의 시초가 되었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단위제와 한국의 단위제는 개념상 상이하다. 한국의 경우 "수업 시수", "출석" 등 표준화된 개념으로 사용되지만, 미국에서는 학생의 선택권 보호와 교육의 다양성 확대를 지향하는 개념으로 호환되어 사용된다. 즉, 단위제와 학점제가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이렇듯 미국의 고교학점제는 교육적 자율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적 풍토 속에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고 행정적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로 도입되었다고 볼 수 있다.


1.3.2. 핀란드의 고교학점제

핀란드의 고교학점제는 1945년까지 발달하지 못한 핀란드의 산업 및 교육 여건에서 기원한다. 당시 인구의 60% 이상이 임업 및 농업에 종사했기 때문에 고등교육에 대한 열의가 높지 않았고, 직업교육과 대학교육이 이분화된 체제를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3년 핀란드 의회에서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 공교육을 강화하기로 결정하면서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급작스러운 변화는 2차 세계대전 이후 '평등'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기존의 이원적 체제의 교육제도가 사회적 계급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기인한 것이다. 핀란드 정부는 국가 주도 하에 중앙집권적으로 공교육 강화 정책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높은 평등주의 의식을 바탕으로 한 교육정책을 펼치게 된다.

1994년 이후 핀란드 국가교육과정은 수업 운영의 유연성과 개인화된 학습(individualized learning)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주당 최소 수업 시수는 시교육청에서 정하지만, 필수 이수 교과목을 제외한 선택 과목에 대한 단위 수업 시간은 학교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게 되었다. 2004년에는 개인의 필요에 따른 학습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신체·발달 장애뿐 아니라 가정여건, 학습 곤란도 등의 개인 조건까지 고려해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같이 핀란드 고교학점제의 도입 배경은 평등의식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국가 주도 하에 개인화된 학...


참고 자료

강현석(2018) 고교학점제 이해와 안착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노은희 외 7명(2019),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안 탐색,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한혜정(2018),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매뉴얼, 교육부
C. 라이트 밀즈(2004), 사회학적 상상력 (이해찬 역), 돌베개
강수돌, 김용, 남미자 외 2명(2021), 자본과 국가 권력을 넘어 교육자치의 새 길을 찾다, 학이시습
교육트렌드2022 집필팀(2021),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2 : 한국 교육을 움직이는 20가지 키워드, 에듀니티
권재원(2015), 그 많은 똑똑한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지식프레임
김삼향, 외 4명(2020),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 모두의 책임교육을 실현하는 공교육 진화 플랫폼, 맘에드림
마이클 풀란(2017), 학교개혁은 왜 실패하는가 (이찬승, 은수진 역), 교육을바꾸는사람들
사토 마나부(2012), 학교의 도전 (손우정 역), 우리교육
엄훈(2012), 학교 속의 문맹자들 : 학교 공교육의 불편한 진실, 우리교육
조영태, 서은국, 외 5명(2019), 아이가 사라지는 세상 : 출산율 제로 시대를 바라보는 7가지 새로운 시선, 김영사
김란주, 서경혜(2018),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과정연구, 36(1), 113-138.
김혜영, 홍후조(2018),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6(1), 246-277.
이광우, 임유나(202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 밖 학습경험의 학점 인정에 관한 쟁점 논의, 교육과정연구, 39(1), 5-34.
이현(2018),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비평,(41), 77-144.
홍후조(2018),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699-724.
문수정(2022)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생 인식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홍미영(2021) 미국과 핀란드의 고교학점제 정책 비교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Coleman, J. S., E. Campbell, C. Hobson, J. McPartland, A. Mood, E. Weinfeld (196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김혜영, 홍후조. (2018).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6(1), pp.246-277
홍후조. (2018).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pp. 699-724
서경혜, 김란주. (2018).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과정연구』, 36(1), pp. 113-138.
최정희. (2014). 「단위제 교육과정 도입과 적용과정의 문제점」, 『교육종합연구』
최정희. 이길상 (2015). 「미국, 일본, 한국의 단위제 교육과정 비교 연구」, 『교육문화연구』
정예나. (2014). 「미국 공통핵심기준 개발의 쟁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강현석. (2018). 「고교학점제 이해와 안착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이경아. (2017). 「고교학점제 도입과 지역-학교의 협력」. 민주연구원.
교육부. (2018).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매뉴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부
이현. (2018).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비평』 (41), pp. 77-144
제주교육정책연구소. (2017). 고교학점제 및 과목 선택권 확대를 통한 학생 맞춤형 교육 적용 방안 연구.
최정희, 이길상. (2015). 미국, 일본, 한국의 단위제 교육과정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제 21권 5호 pp.39-63
최경식. 내년 고교학점제 시행...“건학이념 과목 지정, 학교선택권 확대해야”. 국민일보. (2024.03.14.).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9888861&code=61171811&cp=nv
이잎새. “학교 간 격차 줄였다” 천안·아산서 고교평준화 만족도 80% 넘어. 충남일보. (2024.04.11.). https://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2220
이윤미. (2018). 1974년 고교평준화정책에 대한 구술사적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6(3), 1-29, 10.22327/kei.2018.36.3.001
한희숙, 이수정. (2020). ‘선지원후추첨제’에 기반한 ‘고교평준화’ 정책이 고교 간 격차 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8(5), 29-51.
조혜연. 2024서울대 수시 일반고 49.6% ‘절반 이하’.. ‘정시40% 불이익에 서류 블라인드 역풍까지’. 베리타스 알파. (2023.12.14.).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86988
임병안. "3년째 신입생 결원사태 고교평준화 개선을"…세종 성남고 학부모들 호소. 중도일보. (2019.10.10.). https://www.joongdo.co.kr/web/view.php?key=20191010010003609
김용훈. [Money & Money] 맹모(孟母) 울리는 ‘강남 8학군 전세난’. 파이낸셜 뉴스. (2018.01.14.). https://www.fnnews.com/news/20180114201320769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