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문제가 되는 사례 골라 기술하기 최근 사회문제가 되는 사례 (아동학대, 청소년 비행, 다문화가족, 노인자살 등)을 발췌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방법을 기술하시오.단, 학습내용에 해당되는 이론, 개입기술 및 개입방법등을 활용하셔야 하고, 어떤 학습내용을 활용하였는지 반드시 기술하시오(결론에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
2.1. 언어 및 문화적 부적응
2.2. 학교생활 부적응
2.3. 차별과 편견
3. 개입 방안
3.1. 학생 차원
3.1.1. 언어 및 문화 교육
3.1.2. 자아존중감 향상
3.2. 학교 차원
3.2.1. 교사 교육
3.2.2. 문화 이해 프로그램
3.3. 지역사회 차원
3.3.1.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개선
3.3.2. 체계적 지원 시스템 마련
4. 가출 청소년의 문제
4.1. 가출 청소년의 원인
4.1.1. 가정환경적 요인
4.1.2. 학교환경적 요인
4.1.3. 사회환경적 요인
4.2. 예방 대책
4.2.1. 과제중심모델
4.2.2.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역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문제는 다문화에 대한 시선이라고 생각한다. 다문화 및 외국인과 관련된 정책을 2007년 다문화가정지원정책을 실시함으로써 포용적인 방향을 가지기는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우리나라의 다문화는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지 못하였으며, 그 개체의 숫자만 늘어가고 있을 뿐, 다문화가정이 경험하는 차별이나 자녀들의 차별 및 따돌림 문제는 현재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정책적인 실패라고 볼 수 있는 일이다. 우리나라가 다문화주의를 지향할 때, 동화주의를 지향하는 취지를 밝히긴 하였으나, 다문화가정 및 외국인에 대한 실질적은 대우는 차별배제주의에 가까웠던 까닭이 가장 크다고 보인다.
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
2.1. 언어 및 문화적 부적응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언어 및 문화적 부적응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주여성이 자녀 교육을 담당하는 다문화가정의 경우, 한국어가 미숙한 외국인 어머니와 함께 생활하면서 자녀들이 언어 발달이 지체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특히 문장 이해력이 떨어지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쓰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학습 결손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점 심각해져 기초학습 능력이 부족해지고 학업을 포기하는 사태에 이르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은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이어져 또래 집단으로부터의 따돌림과 같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처럼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언어 및 문화적 부적응으로 인해 학습, 또래관계, 전반적인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2.2. 학교생활 부적응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언어 및 문화적 부적응과 더불어 학교생활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주로 또래로부터의 따돌림과 차별로 인한 학교생활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한국어 구사력 부족으로 인해 수업을 따라가기 어려워하며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언어적 장벽은 학습부진으로 이어져 다른 학생들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편이다. 또한 문화적 차이로 인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의 문화와 규범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학교생활에 제대로 참여하기 어려워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또래로부터의 차별과 따돌림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외모나 피부색, 부모의 출신국가 등 차이로 인해 놀림과 괴롭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신감 저하와 심리적 위축을 경험하며, 극단적으로는 자아정체성 혼란과 극단적인 선택까지 고려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학교생활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학업 중도 탈락과 같은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 현장과 사회 전반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3. 차별과 편견
일반아동들이 다문화가정 아동들에 대해 가지는 차별과 편견은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교생활 부적응의 주요 원인이 된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특히 외모나 문화적 차이로 인해 또래들로부터 놀림과 따돌림을 경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자아존중감이 저하되고 심리적 위축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교사와의 관계에서도 편견으로 인한 차별을 겪게 되어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차별과 편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반아동들과 교사들에 대한 다문화 이해 교육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문화적 배경과 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인식을 높여야 한다. 또한 학교 차원에서 다문화 이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나아가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다문화가정에 대한 편견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차별받지 않고 학교와 지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3. 개입 방안
3.1. 학생 차...
...
참고 자료
[조선일보 사설-20100309화] 다문화 가정 자녀의 10년 뒤 모습 생각해봐야
스토리베리 글, 최희옥 그림, 달라도 괜찮아 더불어 사는 다문화 사회, 동아엠앤비, 2018.03.30.
손소연, 이륜 저, 살아있는 다문화교육 이야기, 즐거운 학교, 2016.12.26.
구정화 저,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정민사 출판사, 2018.01.30.
한상철, 김혜원, 설인자 외 2명 저, 청소년 문제행동, 학지사 출판사, 2003.02.25.
여성가족부, 제6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 2017.
“위기 및 가출청소년의 가출현황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청소년남자쉼터를 중심으로
유호석,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 대학원,[2008] [국내석사] ”
“청소년 가출의 문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plans for coping with runaway Youth
이동선,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2003] [국내석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