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학교 보건 교육 및 관리
1.1. 보건 교육의 목적과 내용
1.1.1. 보건 교육 목적
보건 교육의 목적은 학생의 건강을 보호·유지·증진시키기 위해 학교보건법에 명시된 학생의 신체 발달 및 체력증진, 질병의 치료와 예방, 음주·흡연과 약물 오용·남용의 예방, 성교육 등의 보건 교육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지식 습득뿐만 아니라 건강 행위의 실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 지도하는 데 있다. 궁극적으로는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주역인 학생들이 건강한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1.2. 보건 교육 내용
보건 교육의 내용은 학생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 질병의 예방관리 교육이다. 예방접종, 손 씻기, 올바른 식습관 및 생활 습관, 성교육 등을 통해 감염병 예방 및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정보를 배운다.""둘째, 성과 건강의 교육이다. 안전한 성생활과 성평등, 성병 예방 등에 대한 내용을 배운다.""셋째, 흡연 등 약물의 오남용 예방 교육이다.""넷째, 학생 정서/행동 특성 등의 정신건강 교육이다. 스트레스, 우울증, 자살 예방 등에 대한 지식과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을 배우며, 상담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관에 대한 정보를 배운다.""다섯째, 응급처치 교육이다. 응급상황 시 상황 판단과 신고, 인공호흡 및 심폐소생술, 출혈 및 외상 처치, 화상 및 화학물질 노출 처리, 알레르기 반응 대처 등을 배우며 냉철하고 신속한 대처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정보를 배운다.""여섯째, 신체 건강교육이다. 운동, 영양, 생활 습관, 성 건강 등에 대한 지식과 실천 방법을 배우며, 정기적인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을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1.2. 학교에서의 보건교사 역할과 현실
1.2.1. 보건교사의 역할
보건교사의 역할은 학교 보건 관리와 학생 건강증진을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보건실 운영 측면에서 보건교사는 보건실을 처치실, 안정실, 건강상담실, 보건교육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학생들의 응급처치와 건강상담, 투약 등을 제공한다. 또한 연간 계획에 따른 각종 학생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하고 관련 서류를 관리한다. 이와 더불어 학생 건강관리를 위해 교직원, 학부모,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한다.
약물 관리 측면에서는 의약품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숙지하고, 투약 전 환자의 상황을 확인하여 적절한 약물을 투여하며, 투약 후 부작용 관찰 및 응급 조치까지 체계적인 관리를 한다.
학생 건강검진 측면에서 보건교사는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검진 결과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건강증진 사업을 수립한다.
전염병 예방관리 측면에서는 학생 감염병 예방 교육 및 관계자 연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예방접종을 통한 감염병 확산 방지,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조치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약물 오남용 예방, 시력 및 구강 관리, 응급상황 대처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