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쿠텐베르크의 인쇄술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예부흥과 종교개혁기의 교육
1.1. 문예부흥운동의 발생요인과 발전
1.2. 문예부흥운동이 교육에 준 영향
1.3. 인문주의 교육
1.3.1. 개인적 인문주의 교육
1.3.2. 사회적 인문주의 교육
1.4. 인문주의 교육 사상가
1.4.1. 베르게리우스
1.4.2. 비토리노
1.4.3. 에라스무스
2. 문예부흥의 원인과 전개과정 및 교육에 준 영향
2.1. 문예부흥운동의 시대적 배경
2.2. 문예부흥운동의 발생 요인
2.2.1. 내적 요인
2.2.2. 외적 요인
2.3. 인문주의 교육
2.3.1. 개인적 인문주의 교육
2.3.2. 사회적 인문주의 교육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예부흥과 종교개혁기의 교육
1.1. 문예부흥운동의 발생요인과 발전
문예부흥운동의 발생요인과 발전은 다음과 같다.
문예부흥은 인간생활 전반에 걸쳐 중세사회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14~16세기의 인간해방운동, 사회개혁운동이었다. 이러한 문예부흥운동의 발생요인은 크게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내적요인으로는 단테(A.Dante,1265~1321), 페트라르카(F. Pertarca,1304~1374), 보카치오(G.Boccaccio,1313~1375)등과 같은 선각자들의 사상을 들 수 있다. 단테는 당시 사회의 부패와 귀족, 교회지도자들의 죄를 인간적인 눈으로 비판하였고, 중세적 세계관고 문화를 인정하면서도 다른 한편에서 고대를 동경하고 인간의 성정을 예찬함으로써 개인과 시민으로서의 인간의 가치를 강조하였다. 페트라르카는 당시의 지배적인 사상이던 스콜라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강력하게 비판하고 고전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각성시키고자 하였다. 보카치오는 중세 기독교의 위선과 부패를 비유적으로 비판하고, 인간의 자연적 성정을 중세적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키려고 하였다.
다음으로 외적요인으로는 십자군원정의 실패, 스콜라철학의 붕괴, 비잔틴학자들의 이탈리아 망명, 인쇄술의 발달이 있었다. 십자군 전쟁으로 인한 상공업 발달로 봉건제도가 붕괴되고, 농경사회에서 도시사회로 발달하며 중세적 인생관의 한계가 드러났다. 또한 스콜라철학의 내부적 모순으로 새로운 사상이 요구되었다. 터키에 의해 동로마제국이 멸망하고 그리스의 학자와 고전이 이탈리아로 유입되어 유럽인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였다. 마지막으로 쿠텐베르크의 활판인쇄술 발명은 서적의 보급을 자극하여 문화가 신속하게 전파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적·외적 요인들로 인해 문예부흥운동이 발생하였고, 이는 인간중심의 새로운 문화와 사회로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1.2. 문예부흥운동이 교육에 준 영향
문예부흥운동은 교육 부문에서 곧 인문주의의 교육운동으로 나타났다. 스콜라주의 교육이 영혼의 구원과 내세를 준비하기 위한 신학과 논리학 중심이었다면, 문예부흥기의 새로운 시대정신에 맞지 않았다. 현세의 삶을 긍정하고 보다 인간다운 새로운 삶을 이상으로 추구하는 사람들은 고전작품을 통해 접한 고대 자유인의 삶의 모습에서 이를 발견하였다. 이들은 고대 로마의 교육적 전통 속에서 인간이 중심이 되는 교육을 찾아 복원함으로써 자신들이 고전 속에서 재발견한 새로운 삶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곧 인문주의 교육이다.
문예부흥기에 전개된 인문주의 교육은 크게 개인적 인문주의와 사회적 인문주의 두 유형으로 구분된다. 개인적 인문주의는 이탈리아 문예부흥운동의 특성에 따라 개인의 교양과 자유, 개인의 풍요로운 삶을 중시하였다. 반면 사회적 인문주의는 북유럽에서 일어났으며, 종교, 도덕, 사회 등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변화되었다.
개인적 인문주의 교육의 목적은 개인의 교양 함양, 사고의 자유, 자기표현 및 창조적 활동의 자유에 있었다. 또한 지성, 육체, 덕성의 조화로운 발달과 개성의 신장을 도모하였다. 교육방법으로는 중세와 달리 교과서나 문헌 등이 학습 경험의 주요 자원이 되었고, 논문 작성과 그리스어·라틴어 사용, 개성과 흥미 중시 등이 특징이었다.
반면 사회적 인문주의 교육은 사회개혁과 인간관계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였다. 객관적·사회적·종교적·도덕적 교육을 중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와 능력을 중요시하였고, 이중번역 방법과 연습 및 반복 학습을 강조하는 등 진보적인 교육방법을 추구하였다.
이와 같이 문예부흥운동으로 인해 새롭게 등장한 인문주의 교육은 개인의 자유와 능력 발휘를 중시하고, 도덕성과 ...
참고 자료
이양호, (2016), “문예부흥 운동과 종교개혁 운동” 신학과교회 제5호, 혜암신학연구소
이주한, (2017),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탐구, 창지사
신차균, (2013),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 학지사
이주한,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탐구, 서울: 창시자, 2007.
르네상스 [renaissance] (Basic 고교생을 위한 윤리 용어사전, 2001. 12. 20., (주)신원문화사)
네이버 어학사전 http://dic.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