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프로젝션 맵핑
1.1. 프로젝션 맵핑의 개념 및 특징
프로젝션 맵핑은 대상물의 표면에 빛으로 이루어진 영상을 투사하여 변화를 줌으로써,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이 다른 성격을 가진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프로젝션 맵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2D, 3D의 디지털 이미지 혹은 영상을 제작하거나, 사물의 실제 크기를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와 프로젝터, 컴퓨터 등의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프로젝션 맵핑은 건물의 외벽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공간, 오브제 등 프로젝터에 의해 영사시킬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영상을 출력하는 기존의 스크린 방식에서 탈피해 디스플레이 방식의 3차원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2차원의 사각 프레임에 제한된 영상예술의 재현양상이 3차원의 실제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1.2. 프로젝션 맵핑과 미디어 파사드의 차이점
프로젝션 맵핑은 대상물의 표면에 빛으로 이루어진 영상을 투사하여 변화를 줌으로써,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이 다른 성격을 가진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는 건물의 외벽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공간, 오브제 등 프로젝터에 의해 영사시킬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한편 미디어 파사드는 'Facade'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정확한 의미가 있기 때문에 건물의 외벽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의미한다. 즉 프로젝션 맵핑은 건물의 외벽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까지 활용할 수 있는 반면, 미디어 파사드는 건물의 외벽이라는 제한적인 공간에서만 활용된다는 차이가 있다.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영상을 출력하는 기존의 스크린 방식에서 탈피해 디스플레이 방식의 3차원성을 확보한 프로젝션 맵핑은 2차원의 사각 프레임에 제한된 영상예술의 재현양상이 3차원의 실제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프로젝션 맵핑은 건물 외벽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간과 오브제에 활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지닌 반면, 미디어 파사드는 건물의 외벽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만 활용된다고 할 수 있다.
1.3. 프로젝션 맵핑의 장단점
프로젝션 맵핑의 장점은 장소만 제공이 된다면 다른 매체에 비해 저렴하고 짧은 시간에 더욱 화려하고 경이적인 퍼포먼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현재는 대기업의 프로모션용 광고나 런칭쇼, 대형 공연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광고나 홍보, 이벤트쇼, 미디어 아트, 인터렉티브 아트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관람시점에 따른 왜곡과 착시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관람시점이 프로젝터의 위치에 근접할수록 영상의 왜곡은 줄어들지만, 영상 구성요소가 공간의 깊이감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사체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다른 공간에 재사용하고자 할 때 그 모양이나 크기가 다르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이다.
2. 무대 기술과 무대 미술
2.1. 프로니시엄 무대
프로니시엄 무대는 액자형 무대라고도 불리며, 고대 그리스의 프로스케니엄과 스케네에서 유래되었다. 프로니시엄 아치는 객석과 무대를 분리하며, 이를 조절하여 무대의 넓이와 높이를 여러 가지로 조절할 수 있다. 프로니시엄 아치 뒷부분이 무대이며, 무대의 바닥은 작화가 가능해야 하고 단단하며 미끄럽지 않고 탄력이 있어야 한다. 프로니시엄 무대는 무대 양쪽에 위치하여 창고의 역할을 하는 윙과 무대의 앞부분인 에이프런, 그리고 오케스트라가 위치하는 무대 앞부분의 오케스트라 피트로 구성된다.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들은 공간이 유한하다고 생각했고 시야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로니시엄을 개발했다는 것이다.
2.2. 상자무대와 제4의 벽
상자무대란 세 개의 벽면과 천정으로 구성되었으며 열려있는 제 4의 벽은 관객이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면이다. 17세기 후반 첫 번째 상자무대가 이탈리아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상자무대는 연극, 뮤지컬 등의 무대에서 대체로 나타나는 형태로, 나머지 세 개의 닫힌 벽면과 달리 관객과 배우 사이에는 투명한 가상의 벽인 제 4의 벽이 존재한다.
제 4의 벽은 관객의 유무와 관계없이 배우들이 무대 위에서 연기를 하는 것처럼 연기하게 하는 장치이다. 제 4의 벽이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 배우들은 관객을 의식하지 않고 연기할 수 있게 된다. 반면 관객들은 마치 배우들의 삶을 엿보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제 4의 벽 이론은 근대에 정립되었지만 그리스 고전주의 연극에서부터 사실주의나 자연주의 연극에서도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러시아 형식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 브레히트와 같은 현대연극 이론가들은 제 4의 벽을 의도적으로 깨트려서 관객에게 이성적이고 비판적인 판단을 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관객이 무대 위의 사건을 해명할 능력이 있다고 보며,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상황을 보여주는 것에 그치고자 했다.
2.3. 무대 기술의 요건
무대 기술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장치는 디자이너의 의도에 충실해야 하며 공연에서 그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 무대장치는 공연기간 동안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견고해야 하고 손상되지 않고 원활히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작은 움직임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무대장치는 관객들이 가까이에서 보거나 카메라에 비칠 때에도 환영이 깨지지 않도록 외관과 기능을 고려해야 한다. 무대장치는 가볍고 일정 단위로 조직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