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을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기술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다른 외국어와 비교 대조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
2.1. 형태적 측면
2.1.1. 음운적 특성
2.1.2. 형태적 특성
2.1.3. 통사적 특성
2.2. 내용적 측면
2.2.1. 어휘와 의미 특성
2.2.2. 화용적 특성
3. 한국어와 영어의 형태적 특성 비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는 그 독특한 문법 구조와 발음, 어휘, 문장 구성 등에서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형태적 측면에서는 한국어의 조사 시스템이 다른 언어와는 매우 다르며, 특히 주어와 서술어가 문장의 맨 뒤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한국어의 높임법과 미소언, 존댓말 등도 특징적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에게 어려움을 끼치기도 한다.""
2.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
2.1. 형태적 측면
2.1.1. 음운적 특성
한국어의 음운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는 총 19개의 자음과 21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음은 평음, 경음, 격음으로 이루어진 3항 대립을 보이는데, 이는 발음기관의 긴장도에 따른 차이에서 기인한다. 예를 들어 'ㄱ, ㄲ, ㅋ'와 같이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대립을 이루는 것이다.
한국어의 첫소리에는 단 하나의 자음만이 위치할 수 있으며, 모음과 모음 사이에는 3개 이상의 자음이 나타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단어의 마지막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으로만 발음되며, 각각 폐쇄 단계로 끝이 난다.
모음 체계에서는 단모음 10개와 이중모음 11개가 있다. 이중모음은 반모음과 단모음의 연결로 구성된 상향식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음 조화 현상도 나타나는데, 양성모음끼리 또는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한국어 음운체계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 방식, 발음기관의 긴장도에 따른 대립, 자음군 제한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2.1.2. 형태적 특성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형태소 구조가 복잡하다는 특징이 있다. 형태소는 단어의 최소 의미 단위로서, 접사, 어미, 조사 등이 단어에 붙어 문법적인 의미를 전달한다. 이러한 형태소 구조는 문장의 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한국어는 중국어와 일본어로부터 많은 한자어가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한자를 사용하여 단어를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한국어는 다양한 외래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어의 풍부한 어휘와 표현력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의 순...
참고 자료
김석근(2013), 언어학개론(2쇄), 경상대학교 출판부
강범모(2020), 언어를 풀어 쓴 언어학개론(개정4판), 한국문화사
홍종선, 신지영 외 4명(2015),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허재영, 조오현 외 2명(2014), 한국어학의 이해, 소통
이정복. 2002. 국어 경어법과 사회언어학. 한국사회언어학회.
김인균(2004), 한국어와 영어의 명사 형성 접미사 비교 및 대조, 이중언어학 24권.
김영국(2012), 문장 구조(어순)와 의식 구조 사이의 상관관계: 한국어와 영어 비교 연구, LSI영어연구소.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2, 커뮤니케이션북스.
한재영 외(2008), 한국어 문법교육, 태학사.
나찬연(2017), 현대국어문법의 이해, 월인.
박동호(2020), 대조언어학,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이진호 외 3인(2020), 한국어학개론, 집문당.
원해영(2021), 현대한국어학개론, 한국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