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혈액암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헌고찰
1.1.1. 비호지킨 림프종
1.1.2. 흉막삼출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환자정보
2.1.2. 활력징후
2.1.3. 식이상태
2.1.4. I/O check
2.1.5. 통증 사정
2.2. 진단검사
2.2.1. 일반적 검사
2.2.2. 특수 진단검사
2.3. 약물
3. 간호과정
3.1. 간호문제
3.2. 원인요소를 포함한 간호진단 설정
3.3. 간호과정
3.3.1. PCD 삽입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3.3.2.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3.3.3. 흉막삼출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3.3.4. 통증으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3.3.5. 식욕부진, 신체활동 부족과 관련된 변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헌고찰
1.1.1. 비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은 림프조직 세포들이 악성 전환되어 생기는 종양을 말하며, 림프종에는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이 있다. 비호지킨 림프종은 림프조직에 존재하는 세포의 악성종양으로 호지킨 림프종을 제외한 질환을 칭한다.
비호지킨 림프종은 주로 림프구가 모여 있는 림프절에서 발병하나 림프가 아닌 조직에도 흔히 발병한다. 림프절이나 실질장기를 침범하고 질병이 일정한 연결계통이 없이 일어나며, 다발성으로 나타난다. 명확한 발생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에서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와 비정상 면역조절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면역결핍에서 림프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 이식, 후천성면역결핍증, 선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자가면역질환 등에서 발생빈도가 증가한다.
비호지킨 림프종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전신적인 증상으로 6개월 이상 38도 이상의 열이 나거나, 야간 발한, 체중감소 등이 있으며 이를 B증상이라고 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커진 림프절 종괴의 병리조직검사가 가장 중요하다. 림프종은 세부분류아형이 많고 각 아형마다 치료 방법이 다른 경우가 많아 정확한 조직검사결과를 얻기 위해 반복적인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치료는 악성도와 병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주된 치료는 항암화학요법이다. 림프종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기본적으로 수술로 치료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방사선치료는 정상 장기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종양을 제거할 수 있는 용량을 사용해야 하므로 병변의 위치 및 병변의 수가 중요하다. 또한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약제를 조합하는 복합항암화학요법도 시도된다. 치료의 부작용으로는 탈모, 구토, 피곤, 빈혈, 호중구 감소로 인한 감염 등이 있으며 탈모는 일시적이다. 재발 확률이 높아 항암화학치료 후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을 많이 한다.
1.1.2. 흉막삼출
흉막삼출은 폐의 흉막에서 체액 성분이 스며나오는 삼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정상인의 경우 흉막 내에 소량의 체액이 일정하게 생성되어 있지만, 체액의 생성이 많아지거나 체액의 흡수가 감소하면 흉막 삼출이 발생한다.
흉막 삼출은 다양한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가장 흔한 원인은 심부전, 암, 폐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폐렴과 암뿐만 아니라 결핵도 중요한 원인이 된다. 흉막 삼출은 크게 누출성(transudative)과 삼출성(exudative)으로 분류되며, 누출성은 울혈성 심부전이나 간경변과 같은 질환에서 발생하고 삼출성은 암이나 폐렴, 결핵과 같은 질환에서 발생한다.
흉막 삼출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 통증이다. 이 통증은 '칼로 찌르는 듯 하다', '결린다' 또는 '담이 들렸다' 등으로 표현되며, 깊은 숨을 들이쉬거나 기침을 할 때 통증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마른기침,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감염에 의한 흉막 삼출의 경우에는 발열, 체중 감소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흉막 삼출이 의심되는 경우 흉부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흉부 X선 검사 소견상 흉막 삼출이 의심되면 측와위 흉부 X선 촬영을 통해 삼출액의 양상을 확인한다. 이후 흉수 천자를 통해 흉수의 성상을 파악하고 감별진단을 한다. 검사 결과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흉막 생검이나 흉강 내시경 검사를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
흉막 삼출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중요하다. 폐렴으로 인한 부폐렴성 흉막 삼출의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대부분 항생제 치료로 완치된다. 그러나 고름이 형성된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와 함께 조기에 흉관 삽입을 통해 흉수를 제거해야 한다. 암성 흉막 삼출의 경우 원발 병소에 대한 항암 치료가 필요하며, 증상 완화를 위해 반복적인 흉수 천자나 흉관 삽입을 시행할 수 있다. 삼출성 흉막 삼출의 경우 대부분 치료가 필요하지만, 누출성 흉막 삼출의 경우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삼출액이 감소할 수 있다.
흉막 삼출의 예후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다르다. 결핵성 흉막 삼출의 경우 항결핵제 투여만으로 잘 치유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호흡 곤란 등의 후유증과 흉막 유착이 지속되기도 한다. 암성 흉막 삼출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며, 증상 완화를 위한 반복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흉막 삼출 환자의 치료와 관리에 있어서는 원인 질환에 대한 철저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환자정보
환자명 이**은 62세 여성으로, 비호지킨 림프종과 양측 흉막삼출을 진단받고 치료를 받기 위해 입원하였다. 이** 환자는 서울에 거주하며 반도체 생산 공장에 다니다 2개월 전부터 몸에 쉽게 멍이 들고 어지러움, 피로감을 경험하여 본원에 내원하였다. 검사 결과 백혈구 증가, 적혈구 ·혈색소·헤마토크릿·혈소판 감소 소견을 보여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으로 진단되었다. 항암치료를 위해 입원하게 되었으며, 키 165cm, 체중 58kg, 활력징후는 혈압 100/70mmHg, 맥박 110회, 호흡 20회, 체온 37.9℃로 측정되었다. 구강점막이 붉고 팔과 몸통 전체에 산발적인 점상출혈이 관찰되었으며, 발열로 인한 춤을 호소하였다. 이** 환자는 "항암치료 많이 힘들겠죠? 치료가 잘 될 수 있을지 걱정이 돼요."라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2.1.2. 활력징후
대상자의 활력징후는 다음과 같다.
날짜 시간 혈압(BP) 맥박(PR) 호흡(RR) 체온(BT) SpO2
2023-06-01 5:30 am 140/80 70 22 36.7 94
2023-06-01 11:30am 127/63 86 20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2/유승미,김숙영 외 2명/수문사/2021/756-773p
드림원탑 : 케이스 스터디편(간호학과 교수님이 말하는 학점 플러스 받는 TIP)/전재희, 남소희 외 2명/ 드림널스/2022/
사랑의병원, 혈액암, https://www.lcc.co.kr/content/sub2_2_10, 2022.11.12
서울아산병원 암센터. 백혈병(Leukemia)에 대한 이해 24P
차병헌 외, 알기쉬운 병리학, 고문사, 2022, p.406~410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급성골수성백혈병,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79, 2022.11.13.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급성림프구성백혈병,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78, 2022.11.13.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만성골수성백혈병,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81, 2022.11.13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만성림프구성백혈병,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80, 2022.11.13.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암센터 질환관련 정보, 혈액암,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DCD18&MENU_ID=004, 2022.11.14
캔서앤서(cancer answer), 혈액암 원인, http://www.canceranswer.co.kr, 2022.11.14
서울 아산 병원 질환 백과,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1, 2022.11.14.
The Korean Society of Hematology. Malignant lymphoma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www.hematology.or.kr/sub07/file/2/hematodyscrasia05.pdf [Accessed March,201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114462
Asan Medical Center.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510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31A0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