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플라톤의 국가 개요
1.1. 나라의 기원과 발달
나라의 기원과 발달은 소크라테스와 그의 제자들의 대화를 통해 설명된다. 소크라테스는 나라가 생기는 이유가 개개인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를 자족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개인에게 필수적인 것은 음식, 주거, 의복 등의 마련이며, 이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사람들이 본인의 성향에 맞는 일을 적절한 시기에 해야 한다. 따라서 나라는 필요에 의해 형성되며, 구성원들의 분업과 협력을 통해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글라우콘은 이러한 "최소 한도의 나라"를 "돼지들의 나라"라고 비판한다. 그는 국민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더 많은 직능과 재화의 소유욕구가 생겨나게 되어, 영토 문제와 전쟁이 발생하고 수호자(군대)가 필요하게 된다는 "호사스러운 나라"의 개념을 제안한다. 이에 소크라테스는 이 새로운 나라에서 수호자의 역할과 교육에 대해 자세히 논의한다.
요컨대 나라는 개인의 필요에 의해 생겨났으며, 구성원 간의 협력과 분업을 통해 발전해 나간다. 이 과정에서 단순한 생존을 위한 "최소 한도의 나라"에서 점차 "호사스러운 나라"로 발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호자와 같은 새로운 계층과 기능이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나라의 기원과 발달 과정은 개인과 사회, 그리고 국가의 관계를 보여주는 핵심적인 토대가 된다고 볼 수 있다.
1.2. 수호자의 교육
소크라테스는 수호자의 양육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혼'적인 부분의 교육에 주목한다. 그에 따르면 수호자가 되기 위해서는 신화와 같은 이야기를 통해 형성된 '혼'의 틀이 매우 중요하다.
소크라테스는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신화 속 신과 영웅들은 오직 선한 것만으로 묘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게 해야 아이들의 '혼'이 선하고 훌륭한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시가에서도 죽음이나 두려움, 나쁜 것에 대한 관용 등 아이들의 '혼'을 오염시킬 수 있는 내용은 배제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처럼 소크라테스는 시가와 신화의 철저한 통제를 통해 아이들의 사고를 선하고 훌륭한 방향으로 조종하고자 한다.
이어서 소크라테스는 시가의 구성 요소인 노랫말, 선법, 리듬에도 주목한다. 그는 이러한 요소들이 아이들의 '혼'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기에 매우 엄격하게 통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우울하거나 절망적인 선율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그러한 선율에 친숙해지면 나중에 절망에 빠지거나 악에 물들기 쉽기 때문이다.
요컨대 소크라테스는 신화와 시가를 통해 아이들의 '혼'을 선하고 훌륭한 모습으로 형성시키고자 한다. 그는 이를 위해 이야기 내용과 시가의 구성 요소를 철저히 통제하고 규제하려 한다. 이를 통해 소크라테스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수호자, 즉 '훌륭하디 훌륭한' 수호자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것이다.
2. 국가의 올바름
2.1. 나라의 정의
소크라테스는 국가의 '올바름(正義)'에 대해 논의하면서, 이것이 개인의 '올바름'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성립된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국가의 올바름은 "각 계층의 사람들이 각자의 일에 전념하여 서로를 돕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국가를 구성하는 세 계층인 철학자 통치자, 수호자, 생산자가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상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