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사회복지와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해 법제적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학교사회복지의 법제적인 특성
2.2.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법제적인 특성
2.3. 학교사회복지와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법제적인 문제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학교는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공적(公的)기관으로, 조직(system)으로서의 일반적 특성과 교육기관으로서의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학교의 목적은 모든 학생의 교육권을 보장하고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전인교육을 실현하는 데 있다. 하지만 학교는 학생들에게 전인적인 교육을 실현하기보다 입시 위주의 교육 및 처벌 중심의 제도 등으로 인해 그 본래 목적을 잃어가고 있다. 학교는 하나의 사회체계로서 한 사회의 모든 문제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학생들을 통해 집산(集散)된다고 할 수 있다. 즉, 가정 해체로 인하여 학교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하지 못하는 청소년, 가출 청소년, 집단 따돌림을 당하는 청소년, 장기결석 청소년, 장애우 청소년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학업중단 위기에 빠진 청소년들은 곧 학교의 실패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 안에 있는 교사들은 교과 지도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행정적 잡무로 인하여 문제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지도하기 어려운 현실에 있으며, 혹시 발견하여 지도한다 하여도 지속적인 사례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회복지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분야로, 학교라는 전문가 집단에서 활동해야 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학교사회복지사가 담당하여야 할 역할이라 볼 수 있다. 학교사회복지사들은 전문사회복지사로서 다양한 교육병리현상으로 인해 파생되는 학생문제와 사회문제를 사전교육 등을 통하여 예방하며, 생태계적 관점으로 학교 안에서의 학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질(資質)과 소양(素養)을 갖추고 있다. 이미 학교사회복지사의 필요성은 보건복지부와 교육인적자원부 등의 주체(主體)로 한 연구학교 및 시범학교 사업들을 통해 입...
참고 자료
원선애, “학교사회복지사 제도의 실태와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광운대, 2008
송혜정,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역할에 관한 연구” 침례신학대, 2008
한인영외, “학교와 사회복지”, 학문사, 1999
정혜숙,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학교사회복지 활성화방안 연구”, 가야대, 2012
김은주,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가천대, 2013
학교사회사업론 / 김은수/ 2005년
법제처 국가법령 정보센터 – 학교사회복지 / 학교사회복지사 검색 / 2022.8.11.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ttps://kassw.or.kr/page/s1/s1.php – 2022.08.24
학교사회복지의 다양화에 따른 재구성과 제도화 전망/이태수/ 2008 file:///C:/Users/pbh52/Downloads/KCI_FI001314233.pdf / RISS논문자료
한국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과정과 주요쟁점 /이종익,최웅,서동미/2018 file:///C:/Users/pbh52/Downloads/KCI_FI002329886.pdf /RISS논문자료
김광혁(2014). 학교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학교사회복지.
교육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17). 학교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교육자치정책 로드맵.
강수성‧이윤화 (2010).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프로젝트 조정자의 직무 만족 영향 요인. 학교사회복지.
김선숙·김진숙·최 웅 (2020).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전달체계 개편에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