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사회는 예멘 난민들이 제주도를 들어오면서 논란이 된 바가 있습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사회에 나타난 예멘 난민 사태
1.2. 난민 수용 여부에 대한 사회적 논란
2. 본론
2.1. 문화적 상대주의
2.1.1. 문화적 상대주의의 개념
2.1.2.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2.2. 자민족중심주의
2.2.1. 자민족중심주의의 정의
2.2.2. 자민족중심주의와 문화 갈등
3. 결론
3.1. 문화 상대주의에 입각한 난민 수용 필요성
3.2. 자민족중심주의에서 벗어난 열린 자세 요구
3.3. 안전과 배려의 균형을 통한 난민 정책 수립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사회에 나타난 예멘 난민 사태
2015년 예멘 내전으로 인해 대부분 미혼 남성으로 구성된 약 500여 명의 예멘 난민들이 2017년 12월 관광을 목적으로 제주도에 무비자로 입국하게 되었다. 이들은 말레이시아를 거쳐 제주와 쿠알라룸푸르 사이의 신설된 직항노선을 통해 들어온 것이었다. 말레이시아에서의 장기체류가 어려워지자 다른 선택지가 필요했던 이들은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제주도로 향했다.
2018년 1월부터 6월 말까지 약 561명의 예멘인들이 제주도에 입국하였고 이 중 549명이 난민 지위를 신청하였다. 법무부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2018년 4월 30일 제주도 출도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일부 출도가 허용되면서 결국 484명의 예멘인들이 제주도에서 난민 심사를 받게 되었다. 정부는 이에 2018년 6월 예멘인에 대한 제주도 무사증입국을 중단하였다.
이처럼 500여 명의 예멘 난민이 단기간에 제주도에 몰려들면서 사회의 난민 이슈가 부각되었고, 진짜 난민인지 가짜 난민인지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다. 여론조사 결과 대다수 국민들이 예멘 난민 수용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엄격한 심사를 통한 제한적 수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난민 수용에 찬성하는 의견은 10% 수준에 그쳤다. 또한 청와대 국민청원에 70만 명이 난민법 폐지에 동참하는 등 사회적 갈등이 커지기도 했다.
1.2. 난민 수용 여부에 대한 사회적 논란
<1.2. 난민 수용 여부에 대한 사회적 논란>
2015년 예멘에서 발생한 수니파 정부군과 시아파 후티 반군 간 내전으로 인해 예멘 난민들이 증가하였다. 이들 중 일부는 말레이시아를 거쳐 제주도로 무비자 입국하여 난민 신청을 하였다. 이로 인해 한국 사회에서는 예멘 난민 수용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일었다.
국민들의 다수는 예멘 난민 수용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난민들이 진정한 피난민이 아닌 취업 등 다른 목적으로 입국했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고, 이들의 유입이 일자리 감소, 사회 불안 등을 야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무슬림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과 이에 따른 혐오감도 존재했다. 이런 이유로 국민들은 엄격한 난민 심사와 제한적인 수용을 주장했다.
반면, 소수의 국민들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난민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쟁을 피해 고국을 떠나온 예멘 난민들의 처지를 이해하고 이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리고 난민 수용이 장기적으로는 한국 사회의 다양성 증진과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와 같은 사회적 논란으로 인해 정부는 2018년 6월 예멘 국적자에 대한 제주도 무비자 입국을 중단하는 등 강력한 대응책을 마련했다. 또한 난민법 개정안을 발의하여 난민 심사 및 수용 기준을 더욱 엄격히 하려 했다. 이에 반해 국가인권위원회는 난민법 개정안에 반대 의사를 표명하는 등 정부의 ...
참고 자료
최수지, 2020, 한국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다양성 정책,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p.12~18
자오루이, 2011, 자민족중심주의가 국가이미지와 외국 브랜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p.4~5
제주도에 온 예멘 난민 500명, 무슬림 혐오에 내몰리다, 박수진, 한겨례, 2018.06.18.
유진이(2015). 사회학개론. 서원각.
김성규, 김형길, 배형석(2018).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석인석, 황기식(2019). 제주 예멘 난민사태와 인간안보: 사회통합방안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 https://www.dokdok.co/doldol/s1-8-2
유레카 편집부(2020), <난민, ‘세계는 하나’라는 거짓말>, 디지털 유레카
위더스평생교육원 사회학개론 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