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소아 편도선염은 아동기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편도선은 인두강을 둘러싸고 있는 림프조직의 덩어리로, 여과 기능과 항체 형성을 통해 호흡기와 소화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들 자체가 감염되기도 하는데,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특히 연쇄상구균에 의한 감염이 가장 흔하다. 편도선염은 아동들에게 잦은 상기도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편도선염의 주요 증상은 인후통, 연하곤란, 호흡곤란, 발열 등이며, 심한 경우 중이염, 부비동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이루어지며, 수술 전후의 체계적인 간호가 중요하다. 이 보고서에서는 소아 편도선염의 질병 개요와 치료법, 간호 사례 등을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
2. 소아 편도선염 질병 개요
2.1. 편도선의 정의 및 기능
편도선은 인두강을 둘러싸고 있는 임파조직 덩어리로, 여과 기능과 항체 형성을 통해 병원체의 침입으로부터 소화관과 호흡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편도는 크기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아동의 편도는 학령전기를 통하여 크기가 커지고 4~10세에 가장 활발하다가 사춘기 이후에는 차차 작아진다. 이는 상기도 감염의 감수성이 높은 어린 아동기의 방어기제로 생각된다. 구개편도는 구강 인두 양옆에 위치하고 입안을 보았을 때 목젖의 양쪽에 동그랗게 있는 구조이다. 아데노이드로 알려진 인두 편도는 비인두 후벽(목젖과 연구개의 뒤 쪽으로)에 위치하고 후비공(콧구멍이 열리는 곳 주위로)의 맞은편에 있다. 설편도는 혀의 기저부에 위치하며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이관 편도는 귀와 연결되는 통로인 이관의 개구부 주위로 유스타키오관이 개구부인 후비인두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이들은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오는 통로를 둥글게 감싸고 있는 모양을 하고 있어서 공기를 통해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해서 반응을 한다. 편도는 이렇게 직접 노출된 항원을 조직 내로 유입하고 면역반응을 일으켜 면역글로불린A를 만들어 분비한다.
2.2. 편도선염의 정의 및 원인
편도는 구강과 인두 사이에 위치한 임파조직으로, 상기도 감염으로부터 기도와 소화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편도선염은 대부분 인두염과 함께 발생하며, 많은 임파조직과 잦은 상기도 감염으로 인해 어린 아동에게 흔한 질환이다. 편도선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이지만,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 다양한 세균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여러 바이러스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편도선은 크기가 다양하며 아동기에 가장 크지만 사춘기 이후 점차 작아지는데, 이는 어린 아동기의 방어 기제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편도선염의 발생은 이러한 편도선의 해부학적 특성과 잦은 상기도 감염 때문에 주로 어린 아동에게 나타난다.
2.3. 편도선염의 증상
편도염의 증상으로는 염증에 의한 부종으로 구개편도가 비대해져 연하곤란과 호흡곤란이 나타나며, 인후통이 있다. 또한 아데노이드가 비대해지면 후비공의 공간이 막혀 코로 숨쉬기가 힘들어지고 구강호흡을 하게 되어 점막이 건조해지고 목에 자극이 있을 수 있다.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고 미각과 후각에 손상을 받으며, 비음과 소음이 난다. 아데노이드의 비대로 이관이 막히면 분비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중이염이나 청력 장애가 올 수 있다. 만성 편도선염은 보통 증상이 없거나 경도의 인후통·이물감·기침 등을 호소하지만, 급성화 하여 심한 증상을 나타내거나 편도 비대가 심해져 여러 전신 감염의 근원지가 될 수 있다.
2.4. 편도선염의 진단
편도선염의 진단은 아동의 증상과 시진을 통한 인후의 상태로 판단한다. 원인균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인후배양과 연쇄상구균 감별진단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