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1. 감각운동기
2.2. 전조작기
2.3. 구체적 조작기
2.4. 형식적 조작기
3. 교육적 시사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지발달이론은 유아기의 중요한 발달적 요소이다. 인지발달이론의 대표적인 두 이론이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이다. 본 과제에서는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그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피아제는 인간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지 구조를 바꿈으로써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발견하였다. 유기체는 활동적인 활동을 통해 그들 자신의 인지 구조를 재구성하고, 개인은 그들 스스로 그들 자신의 인지 구조를 형성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평형화라고 부른다. 평형화는 생존을 위해 내부 구조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인간의 본능적인 경향이며, 동화와 조절의 과정을 통해 달성된다. 따라서 인지 발달은 새로운 지식을 동화시키고 부적절한 지식을 통제하면서 사람의 도식을 확장하는 과정이다.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4가지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이다. 결국 교육에 있어서는 교사들이 학습자의 현재 인지 상황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는 학생으로 하여금 한 단계 높은 사고를 할 수 있게끔 유도하기 위해 현재의 인지발달단계에서는 풀 수 없는, 논리적인 모순에 빠지는 문제를 제공해야 하며, 학습자의 인지발달단계를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교수법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2.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1. 감각운동기
감각운동기(0~2세)
아동은 생후 2년 동안 피아제가 이 시기를 다시 6개의 하위단계로 구분할 정도로 많은 인지적 수행과 구조를 새롭게 형성해 간다. 초기에는 빨기와 잡기와 같은 단순한 감각적 반사만으로 환경에 적응하며, 심상능력도 없고 상징이나 언어에 의존하는 사고과정도 없다. 아동은 젖꼭지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것을 빨기 도식에 동화시킨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손 움직임과 쳐다보기가 통합된 행동을 보이는 등 단순하지만 비교적 조직화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생후 수개월이 지나면 여러 신체 부위들이 협응을 하게 되고, 행동 유형도 차츰 복잡해진다. 아동이 기어 다니고, 또 걸어 다니기 시작하면서 주위에 대해 강한 호기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 시기의 말경에 아동은 자신의 활동과 그 결과 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제해결을 위해 방안을 모색하기도 하며, 초보적이나 표상을 통한 사고도 가능해진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참고 자료
피아제 발달이론의 논리적 정당화와 교육적 함의 - 은은숙, 2011
저자 조화태 김계현 전용호 (2012) 인간과 교육 / 방통대 출판부
교육사전편찬위원회 편, 「敎育學大辭典」, 서울: 敎育書舘, 1992.
김언주 ․ ․고광현, 「신교육심리학」, 서울 : 문음사, 2002,
김창걸저, 「최신교육학(정통 수험서)」,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김현재 저, 「피아제의 이론과 臨床法 實際」, 서울 : 배영사, 1981.
전윤식 ․ 이영석 공저, 「삐아제와 幼兒敎育」, 서울 : 螢雪出版社, 1984.
B. J. Wadsworth 저, 정태위 역, 「삐아제의 認知發達論 」, 서울: 배영사, 1981.
James W. Vander Zanden, 「EDUCATION PSYCHOLOGY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 RANDOM HOUSE, 1980.
Richard C. Sprinthall &Norman A. Sprinthall, 「EDUCATIONAL PSYCHOLOGY (A Developmental approach)」,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