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공한 광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성공한 광고
2.1. 중의성의 성공 요인
2.1.1. 중의성과 시각적 이미지의 상호작용
2.1.2. 중의성과 독창성
2.2. 맞춤법 파괴의 성공 요인
2.3. 중의성과 맞춤법 파괴 활용 광고 문구에 대한 인식
3. 사례
3.1. 중의성을 사용한 광고
3.1.1. 국내 광고카피에 나타난 중의성의 종류와 실례
3.1.2. Kobaco, 2010 CM송
3.1.3. 현대캐피탈, 2009
3.1.4. 실패사례 - olleh(올레), 2011
3.2. 맞춤법 파괴를 사용한 광고
3.2.1. 샘표, 2014
3.2.2. 듀오, 2013
3.2.3. 브라이니클, 2013
3.2.4. 삼성생명, 2010
3.2.5. 실패사례- 티몬, 2016
4. 중의성과 맞춤법 파괴의 영향
4.1. 소비자들의 인식
4.2. 긍정적 영향
4.3. 부정적 영향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광고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중의성과 맞춤법 파괴를 사용한 광고에 대한 매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의어와 중의성의 심층적 이해를 토대로 실제 일상생활에 적용시키기 위해 중의성과 맞춤법 파괴를 사용한 광고 사례와 광고 카피의 유형을 연구하게 되었다. 카피는 헤드라인과 보디카피를 가리키며 카피를 어떻게 창작하느냐에 따라 설득 효과가 달라진다. 또한 광고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 중 글이나 말로 표현되는 모든 것을 카피라고 보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 카피의 개념을 명확히 하며, 중의성과 맞춤법 파괴가 가지는 유형과 영향을 토대로 그 성공 사례를 밝히려 한다. 이 연구는 광고 문구의 중의성이 광고 문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학술자료나 동향, 연구보고서를 조사하여 이론적 토대를 다졌다.
2. 성공한 광고
2.1. 중의성의 성공 요인
2.1.1. 중의성과 시각적 이미지의 상호작용
중의성과 시각적 이미지의 상호작용이다. 시각적 이미지와 중의성 광고 문구의 관련성에 따라서 중의성을 활용한 광고 문구는 그 효과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의성 광고 문구의 해석단서를 제공하지 않는 이미지와 함께 노출이 됐을 때는 광고 문구의 중의성 수준이 가장 높거나 낮은 광고에 비해 중의성 수준이 중간정도인 광고에 노출된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광고태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광고 문구의 중의성 해석을 도와주는 해석단서를 제공하는 이미지와 함께 노출이 됐을 때는 중의성 수준이 가장 높은 광고일 경우 시각적 이미지가 중의성의 해석을 도와주기 때문에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2.1.2. 중의성과 독창성
광고에서 언어창의성을 ①동음이의어 사용, ②문맥의 쓰임에 따라 다른 광고, ③ 발음의 유사성을 이용한 광고, ④외국어와 한글의 동음이의를 이용한 광고, ⑤ 다른 속뜻을 가진 어휘를 이용한 광고, ⑥중의적 표현 의 성적소구(sex-appeal) 광고로 총 6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중의성은 하나의 단어나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해독이 필요한 특징을 갖는다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창의성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 중의적 표현의 광고들 대부분이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광고이며, 동음이의어를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광고가 참신하고 독창적일 수 있다. 중의성을 활용한 독창성은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광고에 개입하게 만든다. 광고 문구의 중의성 활용은 광고의 독창성을 나타낼 수 있는 표현전략이라 할 수 있다. 즉, 중의성은 광고의 독창성을 나타낼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1]
2.2. 맞춤법 파괴의 성공 요인
작은 실수 하나가 광고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규범 파괴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다. 규범 파괴는 얼마나 적절하게 사용했는지가 광고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데, 그 방법의 첫 번째는 누가 봐도 고의로 규범을 파괴했다고 느낄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실수 혹은 무지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분명히 어떤 목적을 가지고 고의로 규범을 파괴했음을 명확히 알게 해 줘야 한다. 둘째로는 브랜드 부각, 브랜드의 속성 전달하는 제품 혹은 서비스의 특성을 부각하고...
참고 자료
김정우(2010.). 콘텐츠의 언어 표현과 규범
김정우(2014.). 규범파괴표현의 활용을 통한 광고의 소비자 유인 전략
이기동·김정우(2013.). 광고에서 활용된 방언의 효과
이재원(2009.). 『광고로 읽는 언어학』
허민민, “O2O 배달 앱 광고 마케팅 전략에 대한 비교연구 : "배달의 민족"과 "메이퇀(美团)" 을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2020년
안희정 기자, “배달의 민족, 7월 22일 ‘치믈리에 자격시험’ 연다.”, 2018.06.15, 지디넷코리아, 배달의민족, 7월 22일 '치믈리에 자격시험’ 연다 (naver.com)
김민주 기자, “배달의민족, 치킨 감별사 '치믈리에' 선발시험... 신청 방법, 시험문제 보니”, 2017.07.07., 국제신문, 배달의민족, 치킨 감별사 `치믈리에` 선발시험... 신청 방법, 시험문제 보니 : 국제신문 (kookje.co.kr)
배달의 민족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