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외국어 습득의 중요성
외국어 습득의 중요성은 날로 강조되고 있다. 다양한 언어를 배우는 경험은 개인의 지평을 넓히고 새로운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자신의 모국어 외에 다른 언어를 익히는 것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외국어 구사 능력은 취업이나 진학 등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다국어 구사 능력은 전 세계적으로 그 가치가 인정받고 있어 개인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처럼 외국어 습득은 개인의 지적 성장과 전문성 제고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1.2. 다양한 외국어 학습 경험
많은 사람들은 살아오면서 1개 이상의 외국어를 배운 경험이 있다. 학창시절 외국어 과목을 통해 배웠거나, 성인이 된 후에 특별한 목적을 위해 외국어를 배우기도 한다. 이러한 외국어 학습 경험은 개인마다 다양하다.
필자 또한 많은 외국어 학습 경험을 가지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세계 공용어인 영어를 배웠고, 중·고등학교 때는 영어 외에 일본어를 제2외국어로 배웠다. 대학 시절에는 성서 히브리어 강의를 수강하였으며, 해외봉사활동을 위해 인도네시아어와 중국어도 간단히 배워보았다. 또한 관심사로 인해 불어도 배워보았다. 이처럼 필자는 살아오면서 다양한 이유와 목적으로 여러 외국어를 접해왔다.
그중에서도 대학 시절 성서 히브리어를 배웠던 경험은 특별했다. 당시 수강신청을 하던 중 성경 원어인 히브리어를 한번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성서 히브리어' 과목을 신청하였다. 수업은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지만, 히브리어 알파벳, 단어, 문장 구조 등 기본 문법을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다.
성서 히브리어 수업의 목적은 구약성경을 원어로 강독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었다. 따라서 수업은 문법 번역식으로 진행되었고, 단어의 성과 수 구분, 문장 해석 등의 연습이 주를 이루었다. 말하기나 듣기보다는 읽기와 쓰기에 더 집중하는 방식이었다.
수업 결과,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많은 단어를 학습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성경을 보다 깊이 있게 탐독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15주라는 한정된 시간 내에 언어를 완전히 습득하기는 어려웠다. 여전히 단어의 성과 수 구분이나 문장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외국어 학습 경험은 필자의 관점과 이해력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다. 특히 히브리어 학습은 성경 원전 이해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외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한국어 학습자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2. 히브리어 학습 경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