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환자안전법의 현안, 필요성,중요성,문제점,개선방안(개인의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환자안전법의 필요성
1.2. 환자안전법의 중요성
1.3. 환자안전법의 현안과 문제점
2. 본론
2.1. 환자안전법의 현안
2.1.1. 태움 문화
2.1.2. 수직적인 조직 구조
2.1.3. 높은 이직률
2.1.4. 성폭력
2.2. 환자안전법 개선방안
2.2.1. 태움 해결 방안
2.2.2. 수평적 조직 구조 개선 방안
2.2.3. 이직률 감소 방안
2.2.4. 성폭력 예방 및 대응 체계 마련
3. 결론
3.1. 환자안전법 현안 해결의 필요성
3.2. 환자안전법 개선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환자안전법의 필요성
환자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한 환자안전사고로 인한 추정 사망 건수가 약 38,20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안전이 간과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환자안전 문제는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워 정부와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된다. 따라서 환자안전법의 제정은 환자안전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1.2. 환자안전법의 중요성
환자안전은 의료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는 의료 기관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책무이다. 최근 의료 사고로 인한 사회적 이슈가 발생하면서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환자안전법은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법으로, 의료기관의 안전관리체계 구축, 환자안전 보고학습시스템 운영, 환자안전 활동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예방 중심의 환자안전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안전법은 의료 기관 종사자들의 환자안전 의식을 높이고 관련 교육과 훈련을 강화함으로써 환자 안전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한다. 이는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져 환자의 권리와 편의를 증진시키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안전법은 의료 분야의 핵심 과제인 환자안전 확보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환자안전법의 현안과 문제점
환자안전사고는 병원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2021년 국내 환자안전사고 추정 사망 건수는 약 38,201건에 달한다. 최근 몇 년간 발생한 영아 투약 오류 사고, 노인 낙상 사고, 간병인의 부적절한 간호행위 사고 등 다양한 환자안전사고가 사회적인 이슈가 된 바 있다. 이처럼 환자안전은 병원 내 중대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
간호조직 내 태움 문화는 환자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 2018년 대한간호협회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간호사의 40.9%가 태움을 경험하였으며, 특히 2019년 서울의 한 병원에서 간호사가 태움으로 인해 자살한 사례가 보도된 바 있다. 태움은 폐쇄적인 의료계 조직문화와 간호사 부족 문제가 겹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신규 간호사의 조기 이직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태움 문화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조직의 수직적인 조직 구조 역시 환자안전에 장애요인이 된다. 현재 간호조직은 상하관계가 명확한 관료제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명하달식 업무 처리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간호 제공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더불어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도 환자안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7년 보건의료노조 조사에 따르면, 간호사의 하루 평균 연장 근로 시간이 60분에 달하고 87.9%가 매일 연장근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열악한 근무 환경과 태움 문화 등으로 인해 간호사, 특히 신규 간호사의 이직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간호 인력의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환자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간호사의 성폭력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보건의료노조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간호사 10명 중 1명이 성희롱, 성폭력 경험이 있으나 이 중 10명 중 2명만이 공식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폭력 피해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및 보호 시스템이 미비하기 때문이며, 이는 간호사의 안전과 인권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볼 수 있다.
이처럼 환자안전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간호조직 내 태움 문화, 수직적인 조직 구조, 높은 이직률, 성폭력 문제 등 다양한 현안과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환자안전 확보를 위한 법 시행의 실효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본론
2.1. 환자안전...
...
참고 자료
신은숙, 안민정, 최명이, 이애경, 전은아, 정영미, 서미화, 김혜경, 황진화, 최옥자, 김선희, 박수민, and 황윤영.(2017).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회복탄력성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pp. 302-311). n.p.: 임상간호연구.
- 간호사 '태움', 해결할 개선방안은? . (2018).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2828.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30) 참고
국가 법령 정보 센타
정면숙 외 공저. (2022). 간호관리학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현문사. p5-7, 444-449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24). 2024 상반기 환자 안전사고 사고 종류별 보고 현황.
보건복지부. (2023). 제2차 환자 안전 종합 계획(2023~2027). p.1-3, 11-12
현미숙. (2016).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사-의사 협력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v.22.no.5. p2-3.
권영대. (2006). 병원에서의 질 향상(QI) 활동 – 필요성, 역사와 향후의 과제 -. 한국의료 QA학회지.v.12.no.2. p47-54.
이해영. (2016). SBAR 적용이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p44-45.
김미영. (2018). SBAR를 이용한 의사소통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인식과 대상자안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v.24.no.1. p2,10.
Downs, C. W., & Hazen, M. D. (1977).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14(3), p63-73.
박영하(2010). 대학 총장과 직원의 의사소통체제 개념 모형과의 대한 인식 분석.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익산. p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