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독서 활성화 계획
1.1. 목적
미래사회 대응과 배움의 바탕을 다지는 독서·인문 교육 강화는 이 계획의 주요 목적이다. 구체적으로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독서·인문 활동 강화를 통해 독서·토론 실천 문화를 확산하고, 교육공동체와 함께하는 소통과 공감의 독서·인문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래사회에 필요한 문해력, 사고력, 소통능력 등의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것이 이 계획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방침
교육과정과 연계한 독서 활성화를 위한 방침은 다음과 같다."
교과 문해력 향상을 위한 독서·토론 교육의 활성화, 인문 기초소양을 키우는 독서 프로그램 운영, 행복한 책 읽기를 위한 교육공동체 독서문화 환경 기반 조성, 사제동행 독서 시간 내실화로 평생학습 독서 습관 배양, 「독서 인생삼락」 토론 수업을 통한 통합적 사고력 신장이다."
1.3. 세부 추진계획
1.3.1. 모두가 함께 행복한 책 읽기
목적과 방침에 따른 '모두가 함께 행복한 책 읽기'
학교는 미래사회에 대응하고 배움의 바탕을 다지기 위해 독서·인문 교육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과 연계한 독서·인문 활동을 통해 독서·토론 실천 문화를 확산하고, 교육공동체와 함께하는 소통과 공감의 독서·인문 문화를 조성하고자 한다.
그 일환으로 '모두가 함께 행복한 책 읽기'를 추진한다. 이는 책 읽는 생활의 일상화와 '책 읽는 사람'으로서의 자아관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제동행 독서 시간을 운영하여 전교생이 선생님과 함께 독서하고, 학생 스스로 읽고 싶은 책을 선택하여 읽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독서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자발적인 독서 습관을 형성하고자 한다."
1.3.2. 교육과정 속 문해력 틔움
교육과정 속 문해력 틔움이다. 학교에서는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생각을 나누며 표현하는 통합적 독서 활동을 전개한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독서 프로그램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킨다. 그리고 학년말 인문학 독서 콘서트 행사를 개최하여 학생들의 인문학적 소양을 심화하고 창의적 표현력을 고취시킨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형태의 독후 활동과 독서 기록을 독서 교육 종합지원시스템(DLS)에 활용한다. 또한 연간 다독상을 수여하여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고자 한다.
1.3.3. 독서·인문 교육으로 생각하는 힘 키우기
타인과의 공감, 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독서·인문 동아리 운영과 독서 토론 동아리 연간 운영계획을 통해 학생들의 생각하는 힘을 키우고자 하였다.
독서 토론 동아리는 3월에 구성하고 독서 계획 및 독서 토론 활동 계획을 세웠다. 3월에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도서를 선정하고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자기 주도적 자가 격리 독서법을 익혔다. 4월에는 독서 토론회를 하고 국어 시간과 연계하여 독서 토론을 시행하였다. 이어서 디지털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에 대해 배웠다.
5월에는 책의 주간Ⅰ을 운영하여 세계 책의 날 기념행사, 독서 캠페인, 책갈피 만들기, 5행시 공모, 영화 상영 등의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또한 좋은 시 나누기 행사를 진행하였다. 6월에는 시를 배우고 읽고 좋은 시 암송 발표회와 좋은 시 감상하기 활동을 하였다. 8월에는 독서 교육 종합 지원시스템을 활용한 방학 중 독서 기록 활동과 책방 나들이 체험 학습, 서점을 찾아 책을 고르고 친구와 돌려 읽기, 그림책으로 토론하기 등 다양한 독서 체험 활동을 전개하였다. 9월에는 그림책으로 생각 열기, 감상문과 감상화 제작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10월에는 책 읽기는 대화(토론)를 나누는 것이라는 주제로 독서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마지막으로 12월에는 책갈피 나누기, 영화 감상, 독서 캠페인 전개, 한글날 기념 우리말 바로 알기, 독서 콘서트, 감상문과 감상화 제작 전시, UCC 제작, 문집 제작 전시 등 독서·인문 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