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혜부 탈장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혜부 탈장의 정의와 특징
1.1. 서혜부 탈장의 개념
1.2. 서혜부 탈장의 유형
2. 서혜부 탈장의 원인 및 병태생리
2.1. 근육벽의 통합성 결함과 복부내압 증가
2.2. 선천적 근육 약화와 노화에 따른 근육 쇠약
2.3. 감돈탈장과 염전(꼬임)탈장
3. 서혜부 탈장의 증상과 진단
3.1. 서혜부 탈장의 증상
3.2. 서혜부 탈장의 진단
4. 서혜부 탈장의 치료
4.1. 보존적 치료
4.2. 수술적 치료
4.2.1. 수술 방법
4.2.2. 수술 후 관리
5. 간호과정
5.1. 간호사정
5.1.1. 주관적 자료
5.1.2. 객관적 자료
5.2. 간호진단
5.2.1.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 통증
5.2.2.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5.3. 간호중재
5.4. 간호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혜부 탈장의 정의와 특징
1.1. 서혜부 탈장의 개념
서혜부 탈장의 개념은 장기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복막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것이다. 이는 복벽이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약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탈장은 남녀 모두에게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서혜부 탈장(직접과 간접), 대퇴 탈장, 배꼽탈장, 절개 탈장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간접 서혜부 탈장은 선천적으로 서혜관 상부와 하부의 상하부 서혜륜이 폐쇄되지 않아 발생하며, 특히 남성에게 많이 나타나고 신생아와 젊은 사람에게 흔히 발생한다. 직접 서혜부 탈장은 복벽 근육층의 약해진 부분을 통해 내용물이 돌출되어 발생하며, 주로 노년층에서 많이 관찰된다. 탈장은 근육벽의 통합성 결함과 복부내압 증가로 인해 발생하며, 선천적 근육 약화와 노화에 따른 근육 쇠약, 감돈탈장과 염전(꼬임)탈장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1.2. 서혜부 탈장의 유형
서혜부 탈장은 간접 서혜 탈장과 직접 서혜 탈장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간접 서혜 탈장은 선천적으로 재태기간 중에 서혜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한 상하부 서혜륜이 폐쇄되지 않아 결국 서혜관을 통과하여 정삭을 따라 내장이 탈장되어 발생한다. 이 서혜관 전체가 개존되면 탈장은 흔히 음낭까지 내려가는데 이것을 완전 간접 서혜 탈장이라고 한다. 이 탈장은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많고 신생아와 젊은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50대에 증가하는 경향이나 그 후로는 점차 감소한다. 직접 서혜 탈장은 대퇴 탈장이나 간접 서혜 탈장처럼 관을 통해 일어나지 않고 복벽 근육층의 약해진 부분을 통하여 내용물이 돌출되어 나온 것이다.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선천적으로 복벽의 근섬유수가 부족하였다가 점차적으로 악화되어 발생하게 된다. 간접 서혜 탈장의 경우 복강에서 사타구니를 거쳐 음낭으로 연결되는 길인 서혜관이 선천적으로 폐쇄되지 않아 발생하며, 직접 서혜 탈장은 복벽 근육층의 약화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서혜부 탈장의 유형을 구분하는 핵심은 탈장의 발생 경로와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2. 서혜부 탈장의 원인 및 병태생리
2.1. 근육벽의 통합성 결함과 복부내압 증가
근육벽의 통합성 결함과 복부내압 증가이다. 탈장은 근육벽의 통합성 결함과 복부내압 증가로 발생한다. 선천적으로 근육이 약하고 복부내압이 증가하는 것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비만은 복압을 증가시키는 원인이므로 체중을 조절하여 탈장을 예방할 수 있다.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거나 잡아당기지 않음으로써 복부내압이 증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2.2. 선천적 근육 약화와 노화에 따른 근육 쇠약
선천적 근육 약화와 노화에 따른 근육 쇠약이다. 서혜부 탈장은 근육의 쇠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근육의 쇠약은 선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선천적으로 근육이 약한 경우 복벽의 근섬유수가 부족하여 점차적으로 악화되면서 탈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육조직이 침윤되고 지방조직과 결합조직으로 대체되면서 근육의 강도가 저하되어 탈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인한 근육의 쇠약은 서혜부 탈장의 주요 원인이 된다.
2.3. 감돈탈장과 염전(꼬임)탈장
감돈탈장이 되면 탈장륜(hernial ring, 장이 돌출...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 9판, 수문사
NANDA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11판, 학지사 메디컬
의약정보센터(KIMS 온라인)
서울 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네이버 지식백과] 서혜부 탈장 [inguinal her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서연옥, 이은남, 이은자, 석소현, 박연환, 류은정, 박영미, 백명화, 손덕옥 외 공저『성인간호학 I』,수문사, 2019, 469p~471p
성인간호학 Ⅰ,Ⅱ - 수문사
간호학대사전
‘복강경 탈장수술(대한탈장학회)’ - 바이오메디북
기본간호학 실습 수정판 - 현문사
기본간호학Ⅰ수정판 - 현문사
간호과정 -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