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장애 영유아의 장애 유형과 특성
1.1. 지적 장애의 특성
지적 장애를 가진 영유아들은 학습과 사고 능력에 제한을 가질 수 있으며 추상적인 개념, 추론, 문제 해결 등의 작업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학교에서의 학습과정을 따라가기 어려울 수 있으며, 기초적인 학습 기술과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지적 장애를 가진 영유아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소통, 친구 관계 형성 등 사회적 기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개인의 자립성을 돕기 위한 일상생활 기술, 예를 들어 개인 위생, 식사, 의복 입기 등에서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1.2. 자폐성 장애의 특성
자폐성 장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폐성 장애를 가진 영유아들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들은 눈을 바라보지 않거나, 얼굴 표정을 읽지 못하거나,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언어 발달이 지연되거나 의사소통 수단이 제한적일 수 있는데, 일부 자폐성 장애 영유아는 말하는 능력이 전혀 없을 수도 있다.
이들은 일정한 패턴의 반복, 특정한 관심사에 대한 집착, 예측 가능한 환경을 선호하는 등 반복적이고 제한된 행동 패턴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자폐성 장애 영유아는 특정한 감각적 자극에 대해 과도한 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소리, 빛, 향기 등에 민감할 수 있다."
2. 지적 장애와 자폐성 장애의 언어지도 방법
2.1. 언어지도 방법의 공통점
지적 장애와 자폐성 장애를 가진 영유아들의 언어지도 방법에는 구조적 접근, 시각적 지원, 구체적 지시, 의미 있는 맥락 제공, 개별화된 접근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구조적 접근은 언어 학습을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연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각적 자극을 활용하여 언어 이해를 돕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구체적이고 간단한 지시를 통해 언어 이해와 따르기를 도와준다. 의사소통은 의미 있는 맥락과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실생활의 상황을 활용하여 의사소통 연습을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