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당뇨병의 정의와 원인
당뇨병은 인슐린의 결핍, 인슐린의 이용 장애, 혹은 두 가지 모두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적인 다기관 질환이다. 즉, 절대적 혹은 상대적인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필요한 양만큼의 인슐린을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내분비계 질환으로, 고혈당이 특징인 탄수화물 대사 장애와 함께 지방 및 단백질 대사 장애를 동반한다.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와 인슐린 분비저하가 제2형 당뇨병 발병에 관여한다. 정상적으로 인슐린은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내로 포도당을 이동시켜 포도당 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의 분비는 비교적 정상이지만 이러한 일련의 반응이 저하되어 조직으로 포도당이 흡수되지 못하는 것이다. 제2형 당뇨병의 발병과 관련된 주요 위험 요소로는 체질량 지수 23kg/m2 이상, 직계가족 중 당뇨병이 있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 혹은 4kg 거대아 출산력,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로 진단받은 적이 있는 경우,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거나 고혈압 약제를 복용중인 경우, HDL-콜레스테롤이 35mg/dL 미만이거나 중성지방이 250mg/dL 이상인 사람,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질환, 약물 등이 있다. 이들 위험 요소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미리 정기적인 검사를 실시하여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도록 해야 한다.
인슐린이 결핍되면 혈당은 비정상적으로 높아져서 당뇨병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때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와 인슐린 분비저하가 제2형 당뇨병 발병에 관여한다. 정상적으로 인슐린은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내로 포도당을 이동시켜 포도당 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의 분비는 비교적 정상이지만 이러한 일련의 반응이 저하되어 조직으로 포도당이 흡수되지 못하는 것이다. 제2형 당뇨병의 발병과 관련된 주요 위험 요소로는 비만, 가족력, 임신성 당뇨병, 공복혈당장애,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이 있다. 이들 위험 요소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의 차이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1형 당뇨병 환자는 반드시 외부에서 인슐린을 공급받아야 하므로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라고 불린다. 또한 제1형 당뇨병은 주로 유아기나 청년기에 갑자기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고 상대적인 인슐린 결핍이 나타나는 상태이다. 즉,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은 충분하지만 표적 조직에서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여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것이다.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약물 요법이나 생활양식 개선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또한 제2형 당뇨병은 주로 성인기에 서서히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