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추체간 유합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기간 및 방법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구조
2.1.2. 정의
2.1.3. 원인 및 위험 소인
2.1.4. 증상 및 징후
2.1.5. 진단검사
2.1.6. 치료 및 간호
2.1.7. 예방 방법
2.2. 사례보고서
2.2.1. 간호 정보조사지
2.2.2. 간호과정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척추분리증의 필요성 및 목적
척추분리증은 척추를 구성하는 척추뼈 중 하나인 추궁이 결손되어 척추의 앞부분과 뒷부분이 분리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허리 통증과 하지 방사통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질환이다. 정형외과 실습을 통해 많은 척추 질환 환자들을 접하면서 척추 건강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특히 척추분리증은 생소하게 느껴지는 질병으로, 분리라는 용어에서 치료가 어려울 것이라는 선입견이 들어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또한 실습 병동에서 척추분리증 환자를 접하게 되어 이 질병을 보다 자세히 조사하게 되었다.
1.2. 연구 기간 및 방법
사용자가 입력한 주제인 추체간 유합 케이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2022년 5월 9일부터 5월 20일까지 3번의 병원 방문이 이루어졌다. 입원 기간은 2022년 5월 9일부터 5월 20일이며, 연구 대상자는 요추부 척추분리증, 척추전방전위증, 척추협착증을 겪고 있는 86세 남성 환자였다. 환자 정보, 활력징후, 검사 결과 등을 토대로 담당 간호사와의 면담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구조
척추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앞쪽에 추체가 있고, 뒤쪽에는 위와 아래에 각각 2개의 추간 관절에 의해 상, 하 척추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척추 사이에 디스크가 위치하며, 충격을 흡수하여 쿠션 역할을 한다.
척추는 인체에서 가장 큰 기둥의 역할을 하며, 뇌에서 비롯되는 중추 신경의 일부인 척수를 보호한다.
2.1.2. 정의
척추분리증이란 척추뼈 앞과 뒤를 연결하는 척추후궁의 협부에 어떠한 결손이나 이상이 발생해 금이 가거나 끊어져 추궁의 연속성이 없어진 상태이다. 원래 하나의 뼈로 연결되어야 할 척추뼈가 결손 부위에서 앞쪽과 뒤쪽으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척추뼈가 하나로 움직이지 못하고 앞뒤가 따로 움직이는 상태이다.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척추뼈 자체에 이상이 발생하면서 척추의 모양이 불안정해지는 질환이다. 어느 한순간의 충격으로 발생하지 않고 충격이 축적되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발생한다. []
2.1.3. 원인 및 위험 소인
척추분리증은 선천성, 협부형, 퇴행성, 외상형, 병적형, 수술 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선천성 척추분리증은 관절돌기의 발육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관절면이 상하나 좌우로 부정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척추의 다른 선천성 기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협부형 척추분리증은 척추후궁의 협부 부위가 반복적인 손상을 받아 결손이 발생한 경우이다. 퇴행성 척추분리증은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심해져 척추체의 정렬이 무너진 경우이다. 외상형 척추분리증은 협부 외에도 관절돌기나 지지부위가 충격으로 파괴된 경우이고, 병적형 척추분리증은 전신질환이나 척추질환이 원인이 된 경우이다. 수술 후 척추분리증은 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 수술 시 신경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 지지조직을 제거하다가 발생한다. 대부분 제4번, 제5번 요추에서 발생하며, 4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하고 여성이 남성보다 5배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척추분리증은 척추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므로, 다른 근골격계 이상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척추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되고, 척추전방전위증으로 ...
참고 자료
네이버, 건강 백과, 척추분리증
드럭인포 플러스, 약물 정보,
https://total.druginfo.co.kr/Pharmacy/Introduction/MAINBOARD.aspx?type=MAIN&ckey=MSYSTECH&key=11203404
증상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877
진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127&cid=51007&categoryId=51007
척추의 구조1 https://www.ulsanjoongang.co.kr/11spine/spine0309.htm
척추의 구조2 http://hanbang.semyung.ac.kr/category_main.php?sm_idx=137
체조 -> 자생한방병원 척추 강화 운동 “옆차기 체조”, “개구리 체조”, “백킥 체조”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요추 전방 전위증
서울아산병원, 질환 백과, 척추분리증
송경애 외 공저,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2021),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II, 수문사, 2019, 1210-1213, 1251-1253
이동숙 외, 사례 중심의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2021), 메디컬에듀케이션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index.es?sid=a2
김남현 외.(1994). 척추전방전위증 환자에서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 대한척추외과학회지 제 1권 제 2호, p201
김현영 외 1명.(2019). 수술 환자의 불안에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기본간호학회지 제26권 제4호, p257
구은정 외 1명.(2011). 척추환자 대상 수술 전 구조화된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이 수술 후 불안과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제18권 제1호. p48
박승원 외 6명. 후방경유 요추 융합수술 시 척추후관절낭 손상의 운동역학적 영향.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p358
박은영 외(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박정숙 외(2019). 성인간호학2. 현문사.
서복남 외 2명. (2007).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만성요통의 통증정도와 우울. 근관절건강학회지 제 14권 제 2호. p125
신인호 외 1명. (2014). 만성요통 환자에 대한 요통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1권 제2호. p114~
수혈가이드라인 요약본(2016).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수혈학회
수혈 검색, 2022.10.12. 서울아산병원.
이미영, 김복자(2011). 운동 프로그램이 요추유합술 환자의 통증과 일상생활활동장애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7권 제 3호, p396
정선근. (2007). 만성요통의 재활치료. 서울의대 재활의학과. p496~
문창택,최순관,변박장,이인수. (1985). 경추와 요추에 동반한 척추관협착증의 1례. 대한신경외과학회, Vol.14 No.4
삼성서울병원. (2014). 경추관 협착증.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CMS&CONT_SRC_ID=09a4727a8000f1a9&CONT_CLS_CD=001020001005&CONT_ID=2816
서울아산병원. (연도미상). 척추후궁절제술(Laminectomy) - 검사/시술/수술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01
간호학 정보방. (2015). 척추 수술 환자 간호.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unseon1357&logNo=220534250164&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약학정보원. (연도미상).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드러그인포. (연도미상). 약품상세검색. https://alpha.druginfo.co.kr/search/search_main.aspx
바른세상병원. (연도미상). 경추 척추유합술.
http://seoul.barunsesang.co.kr/index.php?idx=c5d12fb483a5f3/c5d143e895872f/c5d147a3f5887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