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유아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 이해 민감성 중요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
2.2. 보육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영유아의 언어적, 비언어적 사례
2.3. 교사의 민감성이 중요한 이유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유아는 언어적으로 유창하지 않으며 언어발달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만 표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때문에 보육교사에게는 영유아의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민감성이 요구된다. 영유아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이해는 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필수적이다. 보육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실제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교사의 민감성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
영유아들은 일차적으로 가족을 통해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배운다. 그리고 그 기술을 나아가 보육, 유아교육기관, 친척, 이웃과의 경험 속에서 해보기도 하고, 그 안에서의 또 다른 기술을 습득해나간다. 이 중 가족은 비언어적 소통의 기술을 영유아에게 사회화시켜 전달하는 주요 역할을 한다.
비언어적 소통의 기술은 다음과 같이 몇 단계를 거쳐 가정에서 먼저 발달한다. 첫째, 모방을 통해 발달한다. 영유아는 주로 어머니와 일차적인 관계를 맺는데, 이때 어머니나 성인의 행동방식을 따라한다. 둘째, 가정에서 훈계를 통해 발달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행위와 그렇지 못한 행위를 구분해서 지도할 수 있다. 셋째, 직접적인 지도를 통해 발달된다. 어머니는 여러 상황 속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말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지도함으로써 자녀는 ...
참고 자료
김재란, 「영아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박지선, 「영유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최미숙 외, 『국어교육의 이해 –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론, 2012.
김미영, 정옥분,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2014.
박나연, 한세영(2018). 보육교사의 마음챙김이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제, 14(6), 69-88.
이선희, 이승연(2019).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대한 개념적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395-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