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갑상선절제술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갑상선의 문헌고찰
2. 본론
2.1. 케이스 스터디
2.1.1. 간호력
2.1.2. 질병의 기술
2.1.3. 병태생리
2.1.4. 임상소견
2.1.5. 치료
2.2. 수술방법 및 입원 후 경과기록
3. 간호과정
3.1. 수술부위 통증과 관련된 불안 사정
3.2. 수술 전, 후 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갑상선의 문헌고찰
갑상선은 갑상연골의 아래쪽, 숨을 쉴 때 공기의 통로가 되는 기도 앞쪽에 위치한 나비모양의 기관이다.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 및 저장했다가 필요한 기관에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갑상선암은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흔한 암이며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갑상선암은 유두, 소포, 수질, 역형성의 네 가지 유형이 있는데, 유두갑상선암이 가장 흔하다. 유두갑상선암은 서서히 성장하며 초기에 경부 림프절로 확산된다. 유두갑상선암의 병리적 특징으로는 크기, 피막형성, 주위 침입, 종양 괴사, 갑상설관낭 등이 있다. 또한 유두암 환자의 27%에서 갑상선에 림프구 침윤이 관찰되는데, 이는 암의 침윤에 대한 이차적 반응으로 해석된다.
유두갑상선암의 위험인자로는 가족성 유두암, 방사선 노출, 요오드 섭취, 양성 갑상선질환의 병력, 호르몬 및 생식인자, 지역 및 인종간의 차이, 식이와 약제 등이 있다. 임상적으로 거의 무증상이지만 목에 멍울이 생기거나 목구멍 압박감, 목소리가 쉬는 증세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갑상선암의 치료로는 수술, 방사성 요오드 치료, 갑상선호르몬 치료 등이 있다. 수술 방법으로는 갑상선전적출술, 엽절제술 등이 있으며, 방사성 요오드 치료는 잔여 조직에서 재발이 우려되는 경우에 시행한다. 또한 갑상선호르몬을 투여하여 암의 증식을 억제한다.
2. 본론
2.1. 케이스 스터디
2.1.1. 간호력
이름 : 이OO
나이, 성별 : F/48
병동 : oo병동
입원날짜/퇴원날짜 : 2018. 4. 24 입원
입원 후 기간 : 2018. 4. 24 ~
간호수행기간 : 2018. 4. 24 ~
진단명 : Papillary thyroid carcinoma
수술명 : Ipsilateral thyroid lobectomy
수술날짜 : 2018. 4. 25
수술 후 기간 :
주호소(C.C)는 Thyroid nodule이다.
현병력은 OLDCARTS이다.
과거병력(PMH)으로 당뇨와 고혈압이 없으며, 2014년 자궁내막증으로 인한 난소절제술(양쪽)을 받았다.
가족력은 부가 식도암, 모가 고혈압이며 형제자매에게는 특이 가족력이 없다.
건강습관으로는 술과 담배를 하지 않으며, 하루 6시간 수면을 취하고 수면장애와 수면제 복용도 없다.
사회력은 대졸, 서비스직, 경제수준이 중간이며 기혼이다.
질병에 대한 인식 및 심리적 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1.2. 질병의 기술
갑상선 유두암은 갑상선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암종이다. 갑상선 유두암은 서서히 자라며 초기에 경부 림프절로 전이되는 경향이 있다. 유두암의 약 10%에서는 완전한 피막 형성이 관찰되는데, 일반적으로 종양이 피막으로 싸여있는 경우 예후가 양호하다. 반...
참고 자료
정영길 외., 인체해부학(2002), 제2판, 고문사, p.372,373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2013), 제6판, 현문사, p.653,664
EMR 강동경희대학교병원
Thyroid 그림 자료 http://daltonsurgical.com/procedures/oncology/thyroid-oncology
약물 검색 at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aspx?pid=4089
성인간호학,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