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당뇨 인지율 유병율 치료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 선정의 배경
1.2. 연구 목적
1.3. 문헌 검토
2. 당뇨병 유병률과 인지율
2.1. 국내 당뇨병 유병률 현황
2.2. 국내 당뇨병 인지율 현황
2.3. 당뇨병 유병자의 특성
2.4. 당뇨병 인지자의 특성 및 영향 요인
3. 당뇨병 관리 현황 및 과제
3.1. 당뇨병 관리를 위한 정책 및 사업
3.2. 당뇨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재 전략
3.3. 당뇨병 관리에서 간호사의 역할
4. 결론
4.1. 연구 결과 요약
4.2. 임상 현장 적용 방안
4.3. 향후 연구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정의 배경
당뇨병은 생활습관 교정과 체중조절 등으로 발생 이전에 예방할 수 있고, 발생했다 하더라도 조기진단과 적절한 중재 및 치료를 통해 만성질환 형태로 진행, 만성 합병증을 야기하는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질병이다. 대한당뇨병학회의 'Diabetes fact sheet 2021'에 의하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2020년 16.7%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6명 중 1명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연령의 당뇨병 발생은 고령자와 유사하지만 조기에 발병하고, 인술린 저항성 및 베타세포의 기능부전이 심하고 빠르게 악회되는 경과를 보인다. 이에 30~49세 젊은 성인의 당뇨병 유병과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범국가적으로 실시하는 제 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기간인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개년의 자료를 통합하여 우리나라 30∼49세의 당뇨병 유병률과 유병자들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당뇨병 예방과 관리을 위한 중재전략 및 관련 정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30∼49세의 당뇨병 유병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당뇨병 인지자의 특성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당뇨병 예방과 관리을 위한 중재전략 및 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3. 문헌 검토
선행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한당뇨병학회의 'Diabetes fact sheet 2021'에 따르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2020년 16.7%로 나타났다. 이는 6명 중 1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30대는 24만 명, 40대는 68만 명으로 전체 당뇨병 유병자의 17.5%를 차지하고 있다. 젊은 연령층의 당뇨병 발생은 고령자와 유사하지만 조기에 발병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신체활동량 감소, 식습관 변화, 체질량 지수 증가,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력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조기에 발병하고 빠르게 악화되는 젊은 당뇨병은 초기에 증상이 없어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진단된 경우에도 스스로 치료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젊은 당뇨병 환자는 고지혈증, 고혈압 등 대사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젊은 성인의 당뇨병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1,2,3]
선행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 전체와 노인의 당뇨병 유병률 및 관련 위험요인을 분석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젊은 30-40대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당뇨병은 생활습관 개선과 체중관리를 통해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초기에 적절한 중재와 관리를 하면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 맞춤형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30-49세 젊은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과 인지율,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1]
2. 당뇨병 유병률과 인지율
2.1. 국내 당뇨병 유병률 현황
우리나라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2020년 16.7%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6명 중 1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음을 의미한다. 30세 이상에서 당뇨병을 진단받은 사람은 526만 명이었으며, 이 중 30대는 24만 명, 40대는 68만 명으로 당뇨병 유병자의 17.5%를 차지하고 있다. 젊은 연령층의 당뇨병 발생은 고령자와 유사하지만, 조기에 발병하고 인슐린 저항성 및 베타세포의 기능부전이 심하고 빠르게 악화되는 경과를 보인다. 이는 신체활동량 감소와 식습관에 따른 체질량 지수 증가,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력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초기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진단이 늦어지고, 진단된 후에도 자신이 치료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젊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apolipopr...
참고 자료
이현주, 이윤희 and 박금옥. (2023). 30∼49세 한국 성인의 당뇨병 유병 및 당뇨병 인지 관련 요인. 산업융합연구, 21(6), 91-97.
J. H. Bae, K. D. Han, S. H. Ko, Y. S. Yang, J. H. Choi, K. M. Choi & K. C. Won. (2022).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1.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46(3), 417-426. DOI : 10.4093/dmj.2022.0106
TODAY Study Group. (2013). Effects of metformin, metformin plus rosiglitazone, and metformin plus lifestyle on insulin sensitivity and β-cell function in TODAY. Diabetes care, 36(6), 1749-1757. DOI : 10.2337/dc12-2393
우경지, 박수연, 김윤정, 오경원 (2021). 우리나라 성인의 고혈압 유병 및 관리지표 현황. 국민건강통계플러스 2021(4), 5.
e-나라지표. http://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38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687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
연수구 보건소. https://www.yeonsu.go.kr/
이영란, 윤희상 등(2021). 원론 지역사회간호학(8판). 서울: 신광출판사
은평구보건소 보건위생과 보건기획팀(2019). 제7기(2019-2022) 지역보건의료계획, 1-90.
보건위생과 건강도시팀(2020). 1차년도 시행결과 및 2차년도(2020년) 시행계획. 제7기 은평구 지역보건의료계획, 1-93.
한국건강증진개발원 https://khealth.or.kr/kps/localHealthPlan/planList.do?menuId=MENU01118&lhp_sido=seoul&lhp_group=2
은평구립 은평종합사회복지관 http://www.eunpyeong.or.kr/about/regionalStatus
은평구 보건소 https://health.ep.go.kr/CmsWeb/viewPage.req?idx=PG0000003622&page=127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건강통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sido.do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38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당뇨병 유병률) https://data.seoul.go.kr/dataList/10695/S/2/datasetView.do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고혈압 유병률) https://data.seoul.go.kr/dataList/10694/S/2/dataset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