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설립 목적과 이념, 경영 목표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사업
3.1. HIRA 시스템
3.2. 의료행위관리
3.3. 치료재료 관리
3.4. 의약품 관리
3.5. 진료비 청구와 심사 운영
3.6. 의료 질 평가 운영
3.7.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
3.8. 현지 조사
3.9. 의약품유통 및 정보관리
3.10. 의료자원 관리
3.11. 환자 분류체계 개발
3.12. 보건의료 빅 데이터 분석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조직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위원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은 국민 의료비의 적정선을 심사하고 평가하도록 설립된 공공기관이다. 심사평가원은 의료보험 제도가 실시된 후 의료의 질 향상 및 비용의 적정성을 보장함으로써 국민 건강 증진을 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심사평가원은 한정된 보험 재정 제도에서 보건 의료 서비스의 지출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보건 의료서비스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되도록 하여 전 국민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좋은 의료 서비스를 받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심사평가원은 진료비용이 적정한지 심사를 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과다 진료 등 부당한 비용이 지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심사평가원의 주 업무는 치료 재료 관리, 의료 행위 관리, 의약품 관리, 의료 질 평가, 진료비 청구 및 심사 운영, 현지 조사, 보건 의료 빅데이터 분석 등 국민을 위한 많은 의료보장제도를 관리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와 전문가 모두가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따라서 심사평가원은 국민 건강과 의료 체계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설립 목적과 이념, 경영 목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HIRA라고 자신들을 부르며, HIRA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영문인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의 약자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과거 1977년 전국의료보험협의회로부터 시작되어 중앙의료보험조합연합회, 의료보험조합연합회, 의료보험 연합회의 단계를 거쳐 2000년 7월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국민의료평가기관으로 진료비와 요양급여, 의료정보, 보험제도 등을 통하여 국민들이 효능 좋은 의료서비스를 받고, 의료공급자는 건실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설립 이념이다. 또한 심사평가원은 국민과 의료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보건의료 발전에 이바지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의료문화를 열어가는 것을 바라고 있다.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고 상생하며 국민을 위한 공공기관으로 공동체 발전을 위한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것 역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목표이다. 이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중기 경영목표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을 목표로 한 것으로, 최종적인 목표는 국민의 의료부담을 덜고, 안전하고 질 높은 의료이용을 돕는 것이며, 비전은 보건의료를 통한 디지털 혁신으로 의료문화를 선도해나가는 Global HIRA가 되는 것이다. 이 비전 아래 4가지 경영목표를 세워 각각 가치기반 심사평가 체계 전환, 국민 지향 의료보장 강화, 디지털 중심 국민안전체계 확립, 경영혁신을 통한 사회적 가치 확대의 전략 방향을 통해, 국민 최우선, 소통과 협력, 공정과 신뢰, 열린 전문성의 가치를 얻고자 한다. 이외에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윤리, 인권경영과 안전중심경영, 고객만족경영, 사회적 가치 실현의 4가지 경영방침을 기본적으로 따르고 있다. [1,2,3]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사업
3.1. HIRA 시스템
HIRA 시스템은 의료자원과 의료서비스의 지출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의료의 질을 향상하고 비용의 적정성을 따지는 가치 중심 보건의료서비스 실현 시스템이다. HIRA 시스템은 의료서비스 기준 설정과 인프라 관리, 모니터링 피드백 3가지의 업무를 통해 이뤄지며 이들이 상호 작용하여 진료비 청구와 급여 기준, 의료자원 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의료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기에 일반 국민뿐만 아니라 정부, 이해관계자들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HIRA 시스템은 의료자원과 의료서비스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의료의 질 향상과 비용 적정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업무 시스템인 것이다.
3.2. 의료행위관리
의료행위관리는 투명한 절차 속에서 의료공급자의 의료행위에 대한 보험 급여를 심사평가원에서 비용, 효과 등을 심사하여 보험금을 제공하는 업무이다. 이때 다양한 조건(상대가치 점수, 보험 가능성 유무, 급여 기준 등)을 거치며 급여량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보험 적용 기준을 선정하고 관리하는 업무 역시 의료행위관리 업무를 통해 이뤄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의료행위에 대한 적절성과 타당성을 평가하여 보험급여 지급의 기준을 마련하고 관리함으로써 국민들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의료행위관리를 통해 과도한 의료행위나 부당청구를 방지하여 보험재정의 효율적 운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의 적정한 진료행태를 유도하여 의료의 질 향상에 기...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s://www.hira.or.kr/main.do
전병율, (1999).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역할과 운영방향, 한국의료QA학회, pp.11~17.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
205b80c622918779ffe0bdc3ef48d419
전운천, (2008).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역할, 대한산부인과학회, pp. 61~68.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757420
국민건강보험법
https://www.law.go.kr/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A%B1%B4
%EA%B0%95%EB%B3%B4%ED%97%98%EC%8B%AC%EC%82%AC%ED%8F%89%EA%B0%
80%EC%9B%90#undefined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메인 사이트
https://www.hira.or.kr/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