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갑상선양성종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1. 특성
1.2. 병태생리
1.3. 원인
1.4. 증상
1.5. 진단검사
1.6. 치료
1.7. 간호
2. 사례보고서
2.1. 간호정보조사지
2.2. 건강과 관련된 정보
2.3. 임상검사
2.4. 약물
2.5. 간호진단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특성
갑상선은 신체 내의 내분비샘 중 가장 큰 샘으로 무게는 정상 성인에서 약 15-30g정도이며, 얇은 결합 조직의 막으로 싸여있다. 갑상선은 기관 전면의 중앙에 있는 협부를 중심으로 양측 엽으로 연결되어 H자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 저장했다가 필요한 기관에 보내는 역할을 하는 내분비 기관 중 하나이다.
갑상선 종양에는 양성 샘종(Benign adenoma)과 악성종양(Malignant tumor)이 있다. 양성 샘종은 다른 양성 종양과 마찬가지로 국소화되어 있어서 다른 조직에 퍼져 나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양성 샘종이 기관을 눌러 호흡기 증상을 초래할 정도로 커졌다 할지라도 보통 위험하지는 않다. 그러나 매우 드물게 악성으로 변하여 암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양성이 악성으로 변화되는 경우는 뇌하수체 호르몬인 THS가 갑상선을 장기간 자극하기 때문에 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 갑상선 암의 형태에는 여포세포암(유두성 암, 여포성 암, 미분화암)과 여포 주위조직암(수질암)이 있다.
갑상선 암은 주로 40~60세에 나타나고, 남자보다 여자에서 2.5배 정도 많은 경향을 보인다. 또한 머리와 목에 과량의 방사선 조사를 받은 사람에게 흔하다. 갑상선 암은 세포의 성숙도에 따라 분화암과 미분화암으로 구분한다. 분화암은 정상 갑상선 세포의 성질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어 수술치료에 반응이 좋으므로 생존율도 높다. 유두성 암은 가장 발생 빈도가 높고 요오드 섭취량이 많은 나라에서 발생한다.
갑상선 암의 주요 증상은 증식된 갑상선에 통증은 없으나 딱딱한 결절이 생기며 이 결절은 급히 커지고 방사성 요오드를 흡수하지 않는다. 그리고 때로는 림프샘이 커질 수 있다. 질병이 진전된 경우에는 증식된 샘의 압력 때문에 호흡곤란과 쉰 목소리, 연하곤란이 올 수 있다.
종양과 낭종에서 침 흡인 생검을 실시하고 갑상선 스캔, 초음파 검사, 갑상선 억제검사, 혈청 TSH 농도 등의 진단검사를 통해 갑상선 암을 진단한다. 치료 방법으로는 방사성 요오드 치료와 수술이 있다. 잠행성 유두성 암 치료는 갑상선 자극호르몬(TSH)을 억제하기 위해 갑상선호르몬을 투여한 후 갑상선절제술을 시행한다. 유두성 암과 침윤성 여포성 암은 131I요법 치료를 한 후 전체 갑상선절제술을 하며, 림프절로 침범된 경우 림프절절제도 한다. 수질암은 131I요법이나 갑상선호르몬 억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갑상선 절제술을 한다.
간호 진단과정에서 환자를 지지하는데 초점을 두고 수술을 받게 되었을 때는 수술 전에 갑상선 기능을 정상상태로 환원하고 유지시키는 것이 간호의 초점이다. 수술 후에는 주요 합병증의 징후인 출혈, 회귀후두신경 손상, 테타니, 호흡기폐쇄 등을 감시하고 이러한 징후가 보일 때는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한다.
간호 정보 조사지에 따르면 이 환자는 65세 여성으로 2년마다 건강검진을 받던 중 갑상선 mass가 발견되어 수술 위해 입원하였다. 과거력과 가족력에서 특이사항은 없으며, 현재 복용하는 약물도 없다. 수술 전 검사 결과 TSH와 Free T4 수치가 정상 범위였으나, 수술 후 부작용 예방을 위해 항생제, 진통제, 위장약 등이 처방되었다. 간호진단으로는 배액관 삽입으로 인한 감염 위험, 수술로 인한 급성 통증, 수술로 인한 신체상 손상 등이 확인되었다.
간호 중재로는 체온 모니터링, 수술 부위 관찰, 무균적 배액관 관리, 통증 사정 및 진통제 투여, 환자 교육 등이 시행되었다. 특히 수술 후 합병증 예방을 위해 활력징후 측정, 호흡운동 격려, 합병증 징후 모니터링 등이 중요했다. 또한 수술로 인한 신체상 변화에 대한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정서적 지지도 제공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갑상선 양성 종양은 압박 증상 외에는 보통 위험하지 않은 반면 드물게 악성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갑상선암 ...
참고 자료
김금순 외 (2017).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984-992
https://www.cancer.go.kr/ -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http://medical.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서울아산병원 약물정보
MEG GULANICK외 (2014).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89&mobile&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5
국가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mbs/cancer/jsp/cancer/cancer.jsp?cancerSeq=3797&menuSeq=3813&viewType=all&id=cancer_020112000000
보건복지부 건강정보,
http://health.mw.go.kr/mobile/content/group_view.jsp?CID=E15724517E
국가 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20403010000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23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23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1, 수문사, 2023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2, 수문사, 2023
은 영 외, 해부학 4판, 정담미디어, 2023
이한기 외, 알기 쉬운 병리학, 수문사, 2023
이준철 외, 간호사를 위한 생리학, 수문사, 2023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권, 7판, 현문사(2018)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2018)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