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말기 신부전 간호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말기 신질환의 정의 및 원인
2.2. 질환의 병태생리
2.3. 진단방법
2.4. 증상
2.5. 치료
2.6.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간호력
3.1.2. 진단검사 및 치료 효과 확인을 위한 검사
3.1.3. 임상검사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및 수행
3.4. 간호평가
4. 느낀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말기 신부전은 신장의 기능이 거의 소실되어 요독증 증상이 나타나는 말기 신질환이다. 만성 신부전이 진행되어 신장 기능이 10% 미만으로 저하되면 혈액 투석, 복막 투석 등의 신대체 요법이 필수적이다. 신장의 기능 저하로 인한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이 나타나므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와 관리를 해야 한다. 따라서 말기 신부전 환자의 간호 과정을 살펴보고 환자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질병 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문헌고찰
2.1. 말기 신질환의 정의 및 원인
급성 신부전이 치료가 되지 않거나 만성신부전이 진행되어 신장기능의 10% 미만이 남은 상태를 말기 신질환이라고 한다. 말기 신질환에서는 몸 안의 노폐물과 수분을 배출할 수가 없어서 복막투석, 혈액투석 등을 받지 않으면 생명의 유지가 힘들며, 투석을 피하기 위해서는 신장을 이식해야만 한다. 말기 신질환 환자에게는 혈액 투석, 복막 투석, 신장 이식 등의 신대체 요법이 필요하다.
말기 신질환은 주로 만성 신부전에서 비롯된다. 만성 신부전에 대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처치를 하지 않거나, 치료를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콩팥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악화하면서 말기 신질환에 이른다. 급성 신부전이 회복되지 않아 곧바로 말기 신질환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2.2. 질환의 병태생리
혈액투석의 목적은 요독 물질과 체액 제거를 통해 신장 기능의 고유한 기능인 세포 내액과 외액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혈액투석은 반투과성막을 경계로 한쪽에는 노폐물이 축적된 환자의 혈액, 그리고 다른 한편에는 정상인의 세포 외액과 비슷한 조성의 투석액이 효과적인 농도차를 유지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확산, 대류 그리고 투석막(dialyzer)에 의한 흡착에 의해 요독 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확산은 농도차가 클수록, 투석막의 표면적이 클수록 잘 일어나며 투석막 고유의 특징인 투석막 구멍의 크기, 두께, 혈액 및 투석액의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물질 전달 계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용질 마다 제거되는 정도는 자유 상태로 존재하는 용질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확산 속도는 빨라지고,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확산 속도는 느려지며,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는 요독 물질의 제거는 매우 제한되어 혈액 내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분자량이 60 Da인 요소와 같은 작은 분자들은 보통 시행되는 투석을 통해서 65-70% 정도 제거되지만, 분자량이 113 Da인 크레아티닌은 요소보다 제거율이 떨어진다. 대류는 초여과가 일어날 때 분자들이 물에 휩쓸려 제거되는 용매 유입현상으로 분자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이 혈액투석은 확산과 대류 메커니즘을 통해 요독 물질 및 과잉의 체액을 제거하여 신장의 고유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2.3. 진단방법
혈액검사, 소변검사, 신장 초음파검사 등을 통해 말기 신부전을 진단할 수 있다. 혈액검사를 통해 혈중 요소질소 농도(BUN), 혈중 크레아틴 농도의 상승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구체 여과율을 추정해 볼 수 있다. 24시간 소변채집 검사 결과 사구체 여과율이 15ml/분 이하로 나타나며 급성신손상의 소견이 없다면 말기 신장병으로 진단하게 된다. 신장 초음파나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상 신장이 위축되어 있는 것도 말기 신질환을 나타내는 소견이다. 신기능의 감소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신장 초음파, CT에서 신장이 축소된 경우, 골 스캔에서 신장이...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3
혈액검사, 응고검사, 종양표지자 검사, 갑상선기능검사, 당뇨진단 검사, ABGA검사 참고치 및 임상적 의의|작성자 자양방문요양센터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한림대학교 신장연구소 혈액투석-말기신부전 환자의 신대체요법
성인건강간호학1 9판개정
대한민국의약품정보 약학정보원
윤은자. (2019). 성인간호학 I, II(제9판), 서울: 수문사.
성미혜, 홍영혜, 정향미, 김영희. (2015). 비판적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
우암병원 우암의료재단. (http://www.wooammc.com/web/cmd.do?opencode=p0406)
대한영양사협회. (https://www.dietitian.or.kr/work/business/kb_c_kidney_dialysis01.do#)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http://www.nrc.go.kr/portal/board/boardView.do?no=15944&board_id=NRC_NOTICE_BOARD&bn=qnaView&part_no=3&fno=40&menu_cd=09_01_00_01&pageIndex=1#
성인간호학1.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약학정보원
이미지. 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