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대학교 의사소통장애아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적장애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특성
1.2. 장애통합 교사의 지도 방법
2. 본론
2.1. 지적장애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특성
2.2. 언어 및 의사소통 특성을 고려한 장애통합 교사의 지도 방법
2.3. 시사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적장애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특성
지적장애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적장애는 현저하게 낮은 평균 이하의 지적 기능과 함께 적응 행동의 제한성을 보이는 것으로 발달기 동안에 분명하게 나타나며 아동의 교육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적장애는 지적 기능과 함께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적응기술로 표현되는 적응 행동에 있어서 유의미한 제한성을 보이며 이는 18세 이전에 주로 나타난다.
지적장애의 특성으로는 인지적 특성, 사회·정서적 특성, 행동적 특성, 신체적 특성이 있다. 인지적 특성은 낮은 기억력, 느린 학습 속도, 주의 집중의 문제, 배운 내용을 다른 영역에 적용할 수 없는 일반화 능력의 부족, 동기 결함 등의 특성을 보인다. 사회·정서적 특성으로는 지적장애 아동은 인지능력과 함께 사회적 기술이 낮아 일반 아동에 비해 또래나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그로 인해 또래로부터 거부를 당하거나 고립되어 학교에서 또래와 사회적 경험을 쌓을 기회가 적다. 행동적 특성은 주의산만, 행동과잉, 불안, 성격장애들을 포함한 매우 다양한 행동적 특성을 보인다. 신체적 특성으로는 일반적으로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신체적 발달은 일반아동과 별로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운동 기능면에서 보행, 균형, 소근육 운동에서 떨어지기도 하고 성장이 더딜 수 있다.
1.2. 장애통합 교사의 지도 방법
장애통합교사는 다양한 유형의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일반 교육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사이다. 장애 학생이 일반 교육 환경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은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각적인 접근을 사용하며, 학생의 개별적인 특성과 필요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스크립트 활용은 지적장애아동의 구어 능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 스크립트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와 문장을 제공하여 의사소통과 행동양식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일상적인 상황에서 필요한 언어와 어휘를 습득하고 적절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다만 구어 능력이 최소한 존재해야 스크립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음악은 자기표현과 감정 표출을 위한 자연스러운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음악을 통해 다양한 소리와 언어를 경험하고 흥미를 자극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지적장애아동에게 음악과 율동을 함께 제공하...
참고 자료
김연주(2021), 『유아특수교육학』, 교문사.
김경진(2013), 『지적장애 학생의 흥미를 고려한 중재가 낱말 읽기․쓰기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종헌 외(2011),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3(2), pp.89-119.
김연주(2021), 『유아특수교육학』, 교문사.
김경진(2013), 『지적장애 학생의 흥미를 고려한 중재가 낱말 읽기․쓰기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종헌 외(2011),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3(2), pp.89-119.
김경양, 박은혜(2012). 가족-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AAC)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에연구, 12(1), 51-72.
박미경(2010). 자폐성장애 아동의 식사생활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지은(2014). 자폐성장애 아동을 위한 사진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반패패(2017).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유경(2015). CCC-2를 적용한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자폐성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 특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아란, 하은혜(2019). 자폐스펙트럼 장애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심리적 증상의 차이. 재활치료과학, 8(4), 19-31.
임현주(2011). 레트장애아동의 실태와 부모의 스트레스 및 역할만족도.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윤현숙(2007). 구조화 접근을 통한 부모교육이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학령기 아동의 문제행동 및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2), 43-54.
정향인, 김영아(2017).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학령기 아동 어머니의 자녀 양육경험.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1(2), 100-111.
최은영(2013). 유치원 교육활동 중에 나타나는 자폐성 장애 유아의 행동특성.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유진(2010).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사회성과 부모 양육태도의 관계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효정(2009). 정서, 행동장애의 개념과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화(2009). 정서, 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유리(2013). Wee클래스 상담교사의 정서행동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기피요인.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승은(2014). 구조적 가족치료를 활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정서, 행동장애아 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재륵(2012).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모래놀이치료의 효과.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특수교육학(2009). 국립특수교육원.
함현진(2008). 일반아동과 정서, 행동장애 아동의 BGT반응특성.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경숙(2001). 특수학급 운영과 통합교육. 국립특수교육원. 연수 자료집. 45-52.
고상은(2019). 의사소통장애와 언어치료에 대한 예비유아 교사의 인식조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배성현, 이병인(2014).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4(1). 69-95.
이미숙(2015).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학교급별 교사 인식 비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정(2016). 유아기 의사소통장애와 언어치료서비스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보경, 이연규(2009).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언어발달과 사회정서 발달의 차이. 실천유아교육, 14(2), 61-77.
정은의, 유경(2009).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장애아동의 교육지원 요구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11(2). 53-73.
류애주(2022).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특수교육학(2009). 국립특수교육원.
홍기영, 이미나(2011). 장애아동통합보육에 대한 현장 중심 보육교사연수 프로그램 인식 및 요구. 심리행동연구, 3(2), 10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