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물류업창업에 대한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물류업창업에 대한 정의
1.1. 스타트업의 정의
1.2. 스타트업의 핵심요소
2. 스타트업 성공사례 1 : ㈜ 우아한 형제들
2.1. 스타트업 시작배경
2.2. 창업자 분석
2.3. 주요사업 내용 및 실적
2.4. 미래발전 방향 및 사회기여
2.5. 성공요인
3. 스타트업 성공사례 2 : 데브 시스터즈(모바일 게임)
3.1. 스타트업 시작배경
3.2. 창업자 분석
3.3. 주요사업 내용 및 실적
3.4. 미래발전 방향 및 사회기여
3.5. 성공요인
4. 결론
5. 출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물류업창업에 대한 정의
1.1. 스타트업의 정의
스타트업이란 신생 창업기업을 의미하며,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이다. 첨단기술 또는 전에 없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설립되어 급속도로 성장하는 기업을 스타트업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타트업은 벤처캐피탈, 엑셀러레이터 등 전문기관의 투자를 유치받거나 유치를 준비 중인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스타트업은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신생 벤처기업을 의미한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신생 기업이 스타트업이라고 볼 수 있다.
1.2. 스타트업의 핵심요소
(1.2. 스타트업의 핵심요소)
스타트업이 업무를 개시하면서 성공이라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핵심요소가 있다. 이 요소는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모든 창업자들의 성공에 필수적이며, 중요도 순으로 타이밍, 팀과 실행력, 아이디어, 비즈니스 모델, 자금 조달을 들 수 있다. 타이밍은 스타트업이 시장에 진입하는 적절한 시기를 의미하며, 팀과 실행력은 창업팀의 구성과 실행력이 중요하다. 아이디어는 스타트업의 핵심이 되는 독특한 아이디어가 필요하고, 이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과 자금 조달이 필요하다. 이러한 핵심요소들이 잘 갖춰질 때 스타트업은 성공할 수 있다.스타트업이 업무를 시작하면서 성공을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요소가 필수적이다. 타이밍, 팀과 실행력, 아이디어, 비즈니스 모델, 자금 조달 등이 중요도 순으로 작용한다. 시장 진입 시기의 적절성인 타이밍과 창업팀의 구성 및 실행력이 중요하며, 독특한 아이디어와 이에 부합하는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자금 조달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잘 갖춰질 때 스타트업은 성공할 수 있다.
2. 스타트업 성공사례 1 : ㈜ 우아한 형제들
2.1. 스타트업 시작배경
2007년 애플은 iOS 기반으로 아이팟, 휴대전화, 모바일 인터넷이라는 3가지 주요기능을 합친 아이폰이라는 이름의 스마트폰을 출시하였다. 아이폰의 등장으로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을 눈 여겨 본 김봉진 대표는 스마트폰을 통한 비즈니스 시대가 곧 도래할 것으로 보았다. 2009년 국내 스마트폰 도입과 보급의 확산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김봉진 대표를 포함한 3명이 모여 처음 생각한 서비스는 114와 같은 전화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었으나 이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전화번호 정보는 너무 광범위하고 비즈니스 모델이 모호하여 서비스 개발에 실패하였다. 실패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그 다음 생각한 서비스는 전국 각지의 배달음식 정보를 모아서 보여주고 주문까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었다. 기존의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업체들은 전단지나 책자 같은 종이 인쇄물로 홍보를 하는 구조였으나 이는 생각보다 많은 광고비용이 들었고, 배달음식 소비자들은 전단지나 책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배달서비스 시장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여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등장한 어플리케이션이 배달의 민족이었다. []
이처럼 2007년 출시된 아이폰의 성공과 함께 국내에서도 스마트폰 보급이 확산되면서 김봉진 대표와 그의 팀이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견하고 배달의 민족이라는 서비스를 기획하게 되었다. 당시 전화번호 정보 제공 서비스를 시도했다가 실패했지만, 이를 통해 배달음식 시장의 문제점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상하게 되었다. 김봉진 대표 팀은 기존 배달 시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
2.2. 창업자 분석
배달의 민족 김봉진 창업자는 이모션, 네오위즈, IT, 광고 분야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했다. 2008년 직장생활을 정리하고 창업에 뛰어들었고, 디자인 가구 제작과 UX 컨설팅이라는 두 가지 창업아이템에서 실패를 경험했지만, 현재 운영하고 있는 ㈜우아한 형제들이...
참고 자료
김영배·하성욱(2000).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대한 실증조사: 핵심성공요인, 환경특성, 최고경영자 역할과 외부자원활용, 기술혁신연구, 8(1), 125-153.
김정태(2017). 6차산업 경영체 성장단계별 핵심경영요소 탐색, 벤처창업연구, 12(6), 123-138.
김지헌·서대웅(2017). 본질만 남기고 다 빼라: 로우로우(RAWROW)의 브랜드 마케팅 사례, Asan Entrepreneur
Review, 아산나눔재단. 김태영(2017). ‘열정’과 ‘냉정’ 사이에서: 딜라이트의 비즈니스 모델, Asan Entrepreneur Review, 아산나눔재단. 남정민(2014). 업종별 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업종별 창업자의 사업소득 및 창업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벤처창업연구, 9(5), 13-20.
남정민·전병준·박정우(2013).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준비단계 핵심요인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0(5), 27-43.
노용환·홍성철(2011). 찬국 중소제조업의 성장경로 연구: 사업체 수준 통합자료 분석, 16(2), 82-109.
문정훈(2015). 교내창업에서 일구어 낸 Rad
고봉상, 용세중, 이상천(2003). 벤처기업의 성과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벤처경영연구, 6(2), 3-33.
고인곤(2018). 한국 벤처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2차 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모형의 제시. 벤처창업연구, 13(2), 1-13.
고인곤(2009). 비상장 중소기업은 상장기업을 벤치마킹해야 하는가? 전략적 성향에 대한 비교연구. 기업경영연구, 16(4), 183-203.
고인곤, 김훈(2007). 우월한 기업성과를 위한 전제조건으로서의 전략 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다면적 기업성과 및 산업분석. 상업교육연구, 17, 243-266.
김영배, 하성욱(2000).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대한 실증 조사: 핵심성공요인, 환경특성, 최고경영자 역할과 외부자원 활용. 기술혁신연구, 8(1), 125-153.
㈜우아한 형제들 홈페이지 참고
서경원, Basic 고교생을 위한 정치경제 용어사전, (주)신원문화사, 2002.09.25.
샘 월튼 외 1명, 월마트 두려움 없는 도전 (월마트 창업자 샘 월턴 자서전), 라이팅하우스, 2022.10.15.
찰스 피시먼, 월마트 이펙스 (시장경제를 파괴하는 거대 자본의 습격), 이상미디어, 2011.01.10.
Garonne, C., Davidson, P., & Steffens, P. (2010). Do Strategy Choices Matter for Nascent Firms? A Study on Effectuation and Causation Impacts on New Ventures Outcomes.
Sarasvathy, S. D., 2001. Causation and Effectuation: Toward a theoretical shift from Economic inevitability to entrepreneurial contingenc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Read, S., & Sarasvathy, S. D. (2005). Knowing what to do and doing what you know: Effectuation as a form of entrepreneurial expertis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이중석 ∙김종오 (2020) 『중소기업창업론』.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김진수, 이창영(2014), 『창조경제시대의 기업가정신과 창업론』, 문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