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홍길동전에서 길동의 행동이 도덕적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홍길동전에서 길동의 행동이 도덕적인가
2.1. 허균의 생애
2.2. 홍길동전(완판 36장본)
2.3. 허균의 사상과 문학관
2.3.1. 정치사상
2.3.2. 종교사상
2.3.3. 문학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가 발전할수록 개개인의 인품과 도덕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간의 기본적 가치관과 윤리관이 무너지면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 사회에서 과거 우리 선조들이 강조했던 전통적인 인성교육의 가치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허균의 『홍길동전』은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도덕성에 대한 고민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길동전』을 통해 허균의 사상과 그가 작품에 담아낸 도덕성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2. 홍길동전에서 길동의 행동이 도덕적인가
2.1. 허균의 생애
교산 허균은 1569년 음력 11월 3일(선조 2년) 강릉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초당 허엽은 동인의 영수로 경상감사를 지냈으며, 어머니 김씨는 강릉 사천 애일당에 살았던 예조참판 김광철의 딸로 허엽의 두 번째 부인이었다. 허균은 악록 허성, 하곡 허봉, 난설헌 허초희의 아우로 강릉 사천 바다가 보이는 언덕의 외조부댁 애일당에서 태어났으며 서울 건청동에서 자랐다.
9세 때 부친을 따라 상곡(庠谷:明禮坊)으로 이사를 갔고, 이 때부터 시를 잘 지어 어른들에게 칭찬을 받았다. 14세 때 서얼출신 손곡 이달을 처음 만나 시를 가르쳤고, 18세 때 문장을 서애 류성룡과 손곡 이달에게 사사하며 배웠다. 유년기부터 스승의 영향을 많이 받은 허균은 서얼의 불우한 삶과 사회제도의 모순을 통찰하기 시작했다.
20세 때 둘째형 허봉의 사망으로 큰 충격을 받았고, 21세 때 생원시에 급제하여 문과 관리가 되었다. 이 때 누나 허초희가 27세의 나이로 작고했는데, 허균은 23세 때 허초희의 시집 『난설헌집』을 편찬하였다.
24세 때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홀어머니와 만삭의 아내를 데리고 피난을 가던 중 가족을 잃는 큰 고난을 겪었고, 이 때부터 애일당이 있는 뒷산의 이름을 따서 교산이라는 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25세 때 낙산사에 머물며 불교에 깊이 몰두했고, 『학산초담』을 엮었다.
26세 때 정시문과에 급제하였고, 28세 때 한강 정구와 함께 『강릉지』를 엮었다. 29세 때 문과 중시에 장원 급제하여 정6품 예조좌랑으로 승차하였고, 중국에 다녀와 『난설헌집』을 중국에 전파하기도 했다. 31세 때 황해도사로 임명되었다가 서울 기생을 끼고 무질서한 생활로 파직되기도 했다.
40세 때 공주목사를 지내다가 충청도 암행어사의 장계로 함산(咸山)에 유배되었고, 이때 『홍길동전』을 창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46세 때 이이첨의 도움으로 권세를 얻어 천추사로 중국을 다녀왔으며, 47세 때 형조판서가 되었으나 다시 파직되었다. 49세 때 제자 기준격의 고발로 결국 50세에 서시(西市)에서 책형을 당하여 사망하였다.
교산 허균은 가문이 세대를 거쳐 문장가로 유명했던 가운데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자유분방한 성격과 진보적인 사상을 지녔으나 때로는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는 행동도 있었다. 그러나 문학가와 정치인으로 활약하며 사회의 모순에 맞서 ...
참고 자료
“허균”,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2563&cid=40942&categoryId=33383)
“허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7428&cid=46644&categoryId=46644)
조동일 외, 『한국문학강의』, 서울: ㈜도서출판 길벗, 2015년
“허균”, <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995&cid=59015&categoryId=59015)
“도문대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3558&cid=46672&categoryId=46672)
“한정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6493&cid=46644&categoryId=46644)
“성소부부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5607&cid=46644&categoryId=46644)
김영. "허균론(許筠論)" 애산학보 VOL.19 NO.- (1996)
구민정(2014), 「고전소설을 통한 인성교육 내용 연구」, 부산대학교
김병권(2016), 고전소설교육 退溪의 聖學과 聖人敎育 강의안.
한은혜 (2012), 「퇴계 성학십도의 인성교육적 함의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김일렬(2010).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장정룡(1999). 『평전 허균과 허난설헌』. 허균·허난설헌 선양사업회
장정룡·허휘훈(2011). 『허균과 홍길동전 연구』. (사)교산·난설헌선양회
정하영(2012). 『홍길동전』. 임프린트 펭귄클래식 코리아
허경진(2013. 『청소년을 위한 허균 산문집 홍길동전』. 서해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