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기존의 보육과정 및 누리과정과 어떠한 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작성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특징
2.1. 4차 표준보육과정의 인간상 및 목표, 특징
2.2.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인간상 및 목표, 특징
3. 개정된 보육과정에서의 놀이
3.1. 놀이의 의미와 교사 역할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출생을 한 후 1, 2년 그 후 5년 동안 사물을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놀이하는 것에 많은 시간을 보내며 생애 그 어떠한 시기보다 급격한 변화를 이루어 낸다. 영유아의 놀이는 삶이자 자발적인 학습의 수단이 되며, 놀이 세계의 주인공으로서 놀이를 통하여 주변의 인적, 물적 활동과 다양한 상호작용을 맺게 되며 폭 넓은 학습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렇기에 놀이가 영유아의 흥미를 자극하고 지지해 인간으로써 전인적인 발달을 하는데 중요한 매개가 된다는 것이다. 영유아의 놀이는 영유아가 접하는 세상을 알아가며 배워가는 기제로 발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적인 성취라고 볼 수 있다. 이렇듯 영유아에게 있어서 놀이는 중요하다. 4차 표준보육과정과 개정된 누리과정에 있어서도 영유아의 놀이를 통한 발달과 학습을 보다 강조하고 있다.
2. 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특징
2.1. 4차 표준보육과정의 인간상 및 목표, 특징
4차 표준보육과정의 목적은 "영아가 놀이를 하며 심신의 건강과 조화로운 발달을 이루고 민주 시민의 기초 및 바른 인성을 형성하는 것"이다. 4차 표준보육과정의 인간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새롭게 추구하는 인간상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감성이 풍부한 사람, 건강한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이다. 교사는 놀이의 가치, 특성, 의미를 이해하여 영아가 즐겁게 놀이를 하면서 배우는 경험을 지원해야 하며, 적합한 환경을 구성하고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통해 영아가 놀이에 몰입하고 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4차 표준보육과정은 영아를 고유한 ...
참고 자료
김태희(2021)『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놀이지원자’역할 실행에 대한 유아반 보육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 동아대학교 대학원
이상민(2021)『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및 요구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보건복지부. 제4차 표준보육과정.
육아정책연구소, 표준보육과정 개정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발간자료, 2011, pp.1~5.
“잘 놀아야 잘 자란다”, 놀이 중심 표준보육과정 개정, 보건복지부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