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치매의종류및예방방법에대하여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치매의 정의 및 종류
2. 본론
2.1. 치매의 원인 및 진단
2.2. 치매의 치료
2.3. 치매노인 케어의 원칙
2.4. 치매노인의 문제행동과 대처하는 방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치매의 정의 및 종류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임상 증후군이다. 치매의 종류에는 알츠하이머병이라고 불리는 노인성 치매가 있고, 중풍 등으로 인하여 발병한 혈관성 치매가 있다. 이 밖에도 여러 원인에 따른 치매가 존재하는데, 노인성 치매라는 것은 65세 전후에 다양한 원인에 인하여 뇌기능이 손상되기 시작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적인 기능이 계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서 생활에 지장이 나타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노인성 치매라는 것은 65세 이후 노년기에 발병하는 치매를 총칭하는 용어이며, 65세 이전에 발병한 치매는 초로기 치매라고 한다. 과거에는 노인성 치매를 가리켜 망령이나 노망이라고 불렀지만,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이는 분명한 뇌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
2. 본론
2.1. 치매의 원인 및 진단
치매는 기본적으로 전반적인 뇌의 기능에 대한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가장 많이 알려진 알츠하이머병은 원인 미상의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전체 치매 중 50~60%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뇌 혈액순환 장애에 따른 혈관성 치매가 전체 치매 중 20~30%를 차지한다. 나머지는 기타 원인에 따른 치매이다.
알츠하이머병은 두뇌에 있는 수많은 신경세포가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뇌 조직이 점차 소실되고 뇌가 위축되는 위중한 질환이다. 문제는 이러한 질환의 원인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뇌세포의 유전적인 질환이 아닌지에 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유전적인 이상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발병하는 알츠하이머병이 전체 중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인간의 뇌 건강과 관련 연구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
한편, 혈관성 치매는 뇌 안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신경세포가 점차 죽거나 큰 뇌혈관이 갑자기 막히거나 터지면서 뇌세포가 죽을 때 발생하는 치매를 뜻한다.
치매는 우선 환자와 보호자를 통하여 간단한 병력을 청취하고 선별 검사를 시행해 인지 능력을 평가하며 ...
참고 자료
부기옥. 2020.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 변화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복임. 2010. 치매노인에 대한 간병인의 지식, 태도가 간병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네이버 지식백과]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수문사, 유은자 외 11 『성인간호학 Ⅱ』, p. 1239-1243
현문사, 노인간호학회, 『노인간호학』, p. 303
학지사메디컬, 고일선 외 2, 『ND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김경애 외, 치매케어(예방.재활.케어.사례), 문예미디어, 2015.
신준현, 치매의 진단 : 신경심리검사, 대한가정의학회, 2010.
질병체험이야기 연구팀, 치매와 함께하는 사람들 (환자와 가족이 전하는 생생한 질병 체험담), 한빛라이프, 2015.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NP&MENU_ID=004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