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주대 화학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화학실험 개요
1.1. 화학발광 예비/결과 보고서
1.2. 화학발광 실험의 목적
1.3. 화학발광 실험의 원리
2. 화학발광 실험
2.1. 실험 재료 및 특성
2.2. 실험 과정 및 관찰 내용
2.3. 실험 결과 분석
3. 아보가드로 수 결정 실험
3.1. 아보가드로 수 결정 실험의 목적
3.2. 실험 원리
3.3. 실험 과정 및 관찰 내용
3.4. 아보가드로 수 계산 과정
4. 화학적 산소요구량 실험
4.1. 화학적 산소요구량 실험의 목적
4.2. 실험 원리
4.3. 실험 과정 및 관찰 내용
4.4. 화학적 산소요구량 계산 및 결과 분석
5. 결론 및 고찰
5.1. 화학실험 결과 요약
5.2. 실험의 한계와 오차 분석
5.3. 화학실험의 실제적 응용 및 발전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화학실험 개요
1.1. 화학발광 예비/결과 보고서
수화학 반응에서 화학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는 현상을 화학발광이라고 한다. 화학발광은 전자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복귀할 때 에너지가 빛 광자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Cyalume과 루미놀을 사용하여 화학발광 현상을 관찰하였다.
Cyalume은 야광복 속에 있는 고체 에스터의 산화물로, 과산화 수소와 반응하면 1,2-dioxetanedione이 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여 형광체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돌아갈 때 빛을 내게 된다. 루미놀은 화학발광을 나타내는 물질로, 적당한 산화제와 반응하면 푸른 빛을 띠는데, 이는 루미놀 자체가 형광체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실험 과정에서 관찰한 바에 따르면, NaOH는 조해성이 커서 공기 노출 시간을 최소화해야 하고, 과산화수소 용액은 농도가 높고 독성이 강하므로 신체 접촉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과산화수소 용액과 프탈산 다이에틸이 잘 섞이지 않아 혼합 시 스포이트로 흡입 배출하여 섞어주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혼합물의 온도에 따라 발광 세기가 달라지는데, 온도가 높아질수록 반응 속도가 증가하여 발광 세기가 강해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반응 속도가 느려져 발광 세기가 약해진다.
루미놀은 3M NaOH 용액과 NaOH 고체(pellet)에서 발광이 나타났지만, 3M HCl에서는 발광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루미놀은 염기와 반응할 때만 빛을 방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otassium ferricyanide의 양을 더 많이 넣으면 NaOH 용액과 고체에서 발광 지속 시간이 길어졌다.
이번 실험을 통해 화학 반응에서 발생한 에너지가 열 대신 빛으로 방출되는 화학발광 현상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Cyalume과 루미놀의 특성과 화학발광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화학발광 실험의 목적
화학발광 실험의 목적은 화학 반응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열 대신 빛으로 방출되는 반응인 화학발광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Cyalume와 루미놀을 이용해 화학 발광을 관찰함으로써 이러한 화학 반응의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화학 반응의 결과로 물질이 흡수한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는 화학발광 현상은 전자적으로 들뜬 상태의 물질이 바닥상태로 다시 돌아올 때 에너지가 빛 광자로 방출되어 발생한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 화학반응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전환과정을 이해하고, 화학발광 현상의 원리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학발광 실험은 실제 화학 현상을 관찰하고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므로 화학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1.3. 화학발광 실험의 원리
화학발광 실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화학발광은 화학 반응의 결과로 물질이 흡수한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현상이다. 전자적으로 들뜬 상태의 물질이 바닥상태로 다시 되돌아올 때 에너지가 빛 광자로 방출된다. 이때 방출된 빛은 가시광선과 일부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되는데, 이를 발광이라 한다.
발광에는 광발광, 전기 발광, 생물 발광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화학발광은 이 중 하나의 유형이다. 화학발광은 화학 반응의 결과로 물질이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는 현상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 반응으로 인해 생성된 전자들이 바닥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내는 것이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자의 에너지 준위 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자가 높은 에너지 준위에서 낮은 에너지 준위로 천이할 때 에너지 차이만큼의 빛이 방출된다. 이때 전자가 단일항 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천이하면 형광이 발생하고, 삼중항 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천이하면 인광이 발생한다.
따라서 화학발광은 화학 반응의 결과로 생성된 전자들이 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천이하면서 방출되는 빛 에너지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학발광 현상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특히 화학 센서나 의학 진단 등에 활용되고 있다.
2. 화학발광 실험
2.1. 실험 재료 및 특성
Cyalume는 야광복 속에서 반응성이 있는 고체에스터의 산화물이다. Cyalume는 과산화 수소와 만나 1, 2-dioxetanedione가 되면 에너지가 발생한다. Cyalume 분자가 분해될 때 생성된 1, 2-dioxetanedione라는 형광체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발광하는 방식으로, 형광체의 구조에 따라 빛의 파장이 다르고 발광이 하루 이상 지속될 수 있다. 또한 루미놀은 화학 발광을 나타내는 물질로, 적당한 산화제와 혼합하면 푸른 빛을 띤다. 루미놀 자체가 형광체로 작용하는데,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 혈흔을 감식할 수 있다. H+가 OH와 만나 물3-아미노프탈레이트 이온이 상중항 들뜬 상태에서 단일항 들뜬 상태, 바닥상태로 향하며 빛이 발광한다.
NaOH는 조해성이 커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빛이 오래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색을 정확히 관찰하기 위해 공간을 어둡게 하고 흰색 종이를 이용해 관찰해야 한다. 과산화수소 용액은 농도가 높고 강한 독성이 있어 신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과산화수소 용액을 시험관에 한 방울씩 넣으면 발광이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 용액은 프탈산 다이에틸과 잘 섞이지 않으므로 스포이트로 흡입 배출하여 잘 섞어주어야 한다. 또한 혼합물을 따뜻하게 하면 형광 밝기가 세지고, 차갑게 하면 형광 밝기가 감소한다. Potassium ferricyanide를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흔들면 용액 색깔이 무색에서 푸른색으로 변한다.
3M NaOH 용액에 넣으면 형광이 나타났다가 금방 사라지지만, NaOH 고체(pellet)에 넣으면 3M NaOH보다 오래 형광이 유지된다. 반면 3M HCL에 넣으면 형광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루미놀은 염기와 반응할 때만 빛을 방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2. 실험 과...
...
참고 자료
Chemiluminescence,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hemiluminescence, (2022. 02.06)
Jablonski_diagram, LibreTexts, https://chem.libretexts.org/Bookshelves/Physical_and_Theoretical_Chemistry_Textbook_Maps/Supplemental_Modules_(Physical_and_Theoretical_Chemistry)/Spectroscopy/Electronic_Spectroscopy/Jablonski_diagram, (2022. 4. 17)
Diphenyl oxalate, chemistryworld, https://www.chemistryworld.com/podcasts/diphenyl-oxalate/7332.article,
Luminol,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Luminol, (2022. 03. 22)
9-(2-Phenylethenyl)anthracene, pubchem, 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9-_2-Phenylethenyl_anthracene
Diethyl phthalate, pubchem, 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Diethyl-phthalate
Potassium ferricyanide,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Potassium_ferricyanide, (2022. 03.08)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환경부
환경화학 5판, C.N.Sawer 외 2인, 동화기술
안전물질공단, 화학물질정보 – 과망간산칼륨, sodium oxalate, 황산, silver sulfate
두산백과, [옥살산나트륨]
화학대사전, [과망간산칼륨](과망가니즈산칼륨)
화학백과, [황산]
화학대사전, [황산은]
과학용어사전, [화학적 산소 요구량]
한국환경공단-주요사업-수질오염 관리 및 방제 https://www.keco.or.kr/kr/business/water/contentsid/3382/index.do
환경부-물환경보전법-하위법령 개정안
화학대사전, [과망가니즈산염 적정]
팔미트산,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D%8C%94%EB%AF%B8%ED%8A%B8%EC%82%B0, (2022.02.27)
Haxane,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ED%97%A5%EC%84%B8%EC%9D%B8, (2022.03.26)
증류수,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A6%9D%EB%A5%98%EC%88%98, (2022.03.05)
아보가드로 수,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B3%B4%EA%B0%80%EB%93%9C%EB%A1%9C_%EC%88%98, (2022.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