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루미놀법 원리2024.10.151. 루미놀의 발광 반응 1.1. 스핀 다중도(Spin multiplicity) 원자 내에 존재하는 전자는 다양한 상태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양자수라는 개념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양자수 개념 중 하나로 스핀 양자수가 존재한다. 다른 세 가지 양자수는 전자의 에너지 준위 껍질에 관한 개념인 주양자수, 오비탈의 모양(s,p 등)에 대한 개념인 방위양자수(부양자수), 오비탈의 방향에 대한 개념인 자기 양자수이다. 이런 네 개의 양자수에 의해 표현되는 전자의 상태는 고유하다는 내용을 담은 것이 파울리의 배타 원리이다. 그렇다면 이제...2024.10.15
-
아주대 화학실험2025.03.221. 아주대 화학실험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은 화학 반응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열 대신 빛으로 방출되는 화학발광 현상을 관찰하고 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Cyalume와 루미놀을 이용하여 화학 발광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화학발광의 특성을 파악한다. 화학 반응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대부분 열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일부 반응에서는 빛의 형태로 에너지가 방출되는데 이를 화학발광이라 한다. 화학발광 반응에서는 전자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전이될 때 에너지가 빛 형태로 방출된다. 본 실험을 통해 화학발광의 원리와 특성, 그리...2025.03.22
-
아주대 화학실험2025.03.251. 아주대 화학실험 1.1. 화학발광 실험 화학발광은 화학 반응의 결과로 물질이 흡수한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현상이다. 전자적으로 들뜬 상태의 물질이 바닥상태로 다시 되돌아올 때 에너지가 빛 광자로 방출되는 것이다. 화학발광에는 형광과 인광이 있는데, 형광은 단일항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전이되면서 빛이 방출되는 현상이며, 인광은 삼중항이 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전이되면서 빛이 방출되는 현상이다. 형광은 조사광 제거 시 바로 발광을 멈추지만, 인광은 온도가 낮아지면 밝기가 감소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번 실험...2025.03.25
-
아주대 화학실험2025.03.251. 화학실험 개요 1.1. 화학발광 예비/결과 보고서 수화학 반응에서 화학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는 현상을 화학발광이라고 한다. 화학발광은 전자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복귀할 때 에너지가 빛 광자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Cyalume과 루미놀을 사용하여 화학발광 현상을 관찰하였다. Cyalume은 야광복 속에 있는 고체 에스터의 산화물로, 과산화 수소와 반응하면 1,2-dioxetanedione이 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여 형광체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돌아갈 때 빛을 내게 된다. 루미놀은 화학발광을 나타내...2025.03.25
-
[기기분석] 액체 용어/ 형광인광분석법/ 양자가 가지는 운동에너지/ Lowry Assay/ 그리스문자,희랍문자/Buffer/가을하늘이 파란이유/하늘이 붉은 이유/Compton Effect2024.10.141. 용액의 농도와 단위 1.1. 몰농도(Molarity) 몰농도(Molarity)는 용액 1리터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을 몰(mol)로 나타낸 농도이다. 몰농도의 단위는 mol/L 또는 M으로 표시한다. 몰은 원자나 분자 약 6.022x10^23개를 한 묶음으로 보는, 하나의 단위이다. 화학실험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농도 계산법이다. 몰농도는 용액 1리터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온도에 따른 부피 변화에 민감하다. 따라서 온도에 따라 부피 변화를 고려해야 정확한 몰농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몰농도...2024.10.14
-
Fluorometry2024.10.141. 형광분석법 개요 1.1. 발광의 종류와 특징 1.1.1. 광발광 광발광(Photoluminescence, PL)은 물질이 빛에 의해 자극 받아 스스로 빛을 내는 현상이다. 이는 형광과 인광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형광은 물질이 빛에 조사될 때,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들뜬상태로 된 후 바닥상태로 되돌아갈 때 방출되는 빛이다. 물질이 빛을 흡수하면 전자배열의 변화가 발생하여 바닥상태(ground state)에서 들뜬상태(excited state)로 바뀌게 된다. 일반적으로 들뜬 상태의 물질은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흡수한 빛...2024.10.14
-
루미놀 실험 보고서2024.09.151. 화학발광 (Chemiluminescence) 1.1. 화학발광의 정의 화학발광이란 특정한 화학종이 일련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들뜬 상태(electromically excited state)로 전이(transition) 된 후 다시 바닥상태(ground state)로 이완(relaxation) 될 때 여분의 에너지를 열에너지가 아닌 빛에너지로 방출하는 현상이다.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물질이 들떠 발광하거나, 들뜬분자 또는 들뜬원자가 함께 존재하고 있는 다른 분자나 원자에 충돌하여 이것을 들뜨게 하여 발광시키는 경우 등이...2024.09.15
-
루미놀 보고서2024.09.151. 화학발광 1.1. 에너지 준위 원자핵을 중심으로 전자가 일정한 궤도를 그리며 존재하고 있는데 그 궤도를 에너지 준위라고 한다. 전자는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으면 높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했다가 낮은 준위로 내려오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이 때의 에너지 방출은 열 혹은 빛과 같은 전자기파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 높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는 것을 "들뜬 상태"라 하며, 이 들뜬 상태에 있던 전자가 다시 낮은 에너지 준위로 떨어질 때 그 에너지 차이만큼의 빛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화학발광"이라 한다. 높...2024.09.15
-
부경대 화학2024.10.071. Luminol의 화학발광 1.1. 사용되는 시약 및 실험기구 1.1.1. 시약 Luminol은 3-aminophthalhydrazid의 화학식을 가지며, 분자량은 177.16g/mol이고 녹는점은 592K이다. Luminol은 화학발광 실험에 사용되는 주요 시약 중 하나이다. NaOH(수산화나트륨)는 화학발광 실험에서 Luminol 용액을 염기성으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NaOH의 분자량은 39.9971g/mol이고, 밀도는 2.13g/이며, 녹는점은 596K, 끓는점은 1661K이다. HCl(염산)은 Luminol...2024.10.07
-
화학실험2024.10.081. 화학 전지 1.1. 화학 전지의 정의와 원리 화학 전지는 자발적인 화학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전자 이동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는 장치이다. 화합물 내의 원자와 분자는 전자를 잃어버리거나 얻게 되는데, 이때 전자를 잃어버리는 물질은 "산화"되었다고 하고 전자를 얻은 물질은 "환원"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산화-환원 반응은 화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분자들 사이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서 금속선을 통하여 전자가 흐르도록 만들면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지(cell)를 만들 수 있다.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