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수업교안 -는 바람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1.2. 연결어미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중요성
1.3. 연구의 목적 및 구성
2. 본론
2.1.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정의 및 특징
2.2.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점
2.2.1. 시간 계기와 상황/발견의 차이
2.2.2. 원인과 결과의 차이
2.3.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교수-학습 방안
2.3.1.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안 구성
2.3.2. 도입-제시-연습-활용-마무리 단계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
3.3.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이다. 한국어는 매우 다양한 연결어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문장을 완전히 끝맺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또 다른 문장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결어미는 선행절의 뜻을 풀이하여 주며, 선행절과 후행절 사이의 의미관계를 나타내 준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어미는 여러 가지 의미적 및 통사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초급 학습자에게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법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1.2. 연결어미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중요성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중요성
한국어 연결어미인 '-아/어서'와 '-(으)니까'는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기본적으로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는 앞의 문장이 뒤의 문장의 이유 혹은 원인이 되고, 뒤 문장은 그에 따른 결과나 결과와 관련되어진 내용이 될 때 사용된다. 이러한 점에서 '-아/어서'와 '-(으)니까'는 중요한 문법 형식이다.
'-아/어서'와 '-(으)니까'는 전부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의미 기능을 지니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이 두 연결어미는 상호 교체 가능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두 연결어미는 차이점이 있다. '-아/어서'는 시간 계기와 원인과 결과의 두 가지 의미를 나타내고, '-(으)니까'는 상황과 발견, 원인과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처럼 '-아/어서'와 '-(으)니까'는 한국어 문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두 연결어미는 현실 세계의 인과관계를 표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 두 연결어미의 사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3. 연구의 목적 및 구성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결어미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교안을 작성하는 것이다. 연결어미는 한국어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와 의미로 사용되어 외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주는 문법 항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연결어미의 정의와 특징,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시간 계기와 상황/발견의 차이, 그리고 원인과 결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할 것...
참고 자료
루이루, 한국어와 중국어 인과관계 구문의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양명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초급 어미), 집문당, 2016.
단몽, 한국어 문법 제시를 위한 의식 상승 과제의 설계와 적용 : ‘-아/어서'와 ‘-(으)니까'를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