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편 72편 주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편 개론
1.1. 시편의 문학적 특성
1.2. 시편의 저자와 편집 과정
1.3. 시편의 구조와 장르
2. 개인 탄식시
2.1. 개인 탄식시의 구조와 특징
2.2. 개인 탄식시의 핵심 주제
3. 개인 감사시
3.1. 감사시의 구조와 표현
3.2. 감사시의 주요 내용
4. 공동체 탄식시
4.1. 공동체 탄식시의 배경과 특징
4.2. 공동체 탄식시의 핵심 주제
5. 공동체 감사시
5.1. 공동체 감사시의 구조와 형식
5.2. 공동체 감사시의 역할과 의의
6. 찬양시
6.1. 찬양시의 특징과 유형
6.2. 찬양시의 신학적 의미
7. 제왕시
7.1. 제왕시의 주요 내용과 구조
7.2. 제왕시의 신학적 함의
8. 시편 86편의 이해
8.1. 시편 86편의 본문과 사역
8.2. 시편 86편의 장르와 문학적 분석
8.3. 시편 86편의 신학적 메시지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시편 개론
1.1. 시편의 문학적 특성
시편은 '시'라는 분명한 문학적 장르를 가지고 있다. 이 말은 시편 기자가 논리적인 글쓰기가 아닌 은유와 비유와 같은 상징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또한 시편을 기록한 저자의 의도에 따라 시편 해석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편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시편을 기록한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전제로 시편은 시형식으로 된 기도나 찬양 모음집으로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께 기도나 찬양을 드리는 데 사용된 책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시편의 문학적 특성은 시형식, 상징적 표현, 저자의 의도 등을 들 수 있다"."
1.2. 시편의 저자와 편집 과정
전통적으로 시편은 다윗 왕이 작성한 것으로 인정되어 왔지만, 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시편이 담고 있는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다윗의 시'에서 '의'에 해당하는 '레( )다윗'은 다윗 저작설에 의문을 갖게 한다"" ' '는 '다윗의 이름으로 편집된 시모음집'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런 점들은 70인역과 쿰란사본의 시편들을 비교해보면 시편이 오늘날의 최종적인 모습을 갖추기까지 수차례의 편집과정이 있었음을 충분히 짐작케한다"" 시편의 편집기간을 정하는 것도 매우 어렵지만, 다양한 근거들이 이스라엘 초기부터 쓰여지기 시작해서 다윗이 많은 시를 지었으며, 그 이후 언제인지 모르지만 편집이 이루어지다가 제 2성전 시대에서 오늘날의 최종형태로 완성되었다고 말해준다"" 표제는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덧붙여진 것으로 추측한다"" 표제는 제목이 아니라 이 시편이 어느모음집에 속하는지 또는 어떻게 연주해야 하는지의 특성을 말해준다"
1.3. 시편의 구조와 장르
시편의 구조와 장르는 다음과 같다.
시편은 '시'라는 분명한 문학적 장르를 가지고 있다. 이는 시편 기자가 논리적인 글쓰기가 아닌 은유와 비유와 같은 상징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편을 기록한 저자의 의도에 따라 시편 해석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편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시편을 기록한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편은 전체적으로 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은 찬양(Doxology)로 마무리하고 있는데 이는 편집자의 손길로 보인다. 시편의 편집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 시편 모음집들이 흩어져 있었고(다윗, 고라, 아삽, 2nd 다윗의 시 등), 둘째 이들이 더 큰 모음집으로 모였다(고라, 2nd 다윗의 시, 아삽, 엘로힘 등). 셋째, 다윗시편과 엘로힘시편이 결합되어 1권과 2권으로 1차편집이 완성되었다. 넷째, 여호와시편, 2편, 89편이 첨가되고 최종편집을 끝마쳤다.
이처럼 시편은 오랜 기간에 걸쳐 편집되어 왔으며, 최종적인 모습을 갖추기까지 수차례의 편집과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시편의 장르는 정확히 구분하기 어려운데, 궁켈은 시편에는 최소한 '찬양시'와 '탄식시'라는 두 가지 모음집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트렘퍼 롱맨Ⅲ는 시편의 장르를 찬양시, 탄식시, 감사시, 신뢰의 시, 회상의 시, 지혜시, 제왕시 등 일곱 장르로 분류하였다.
또한 시편의 시형은 평행법과 운율이 있는데, 이를 통해 시편 기자의 문학적 기교를 엿볼 수 있다. 이처럼 시편은 단순한 기도문이 아닌 문학적 기교가 발휘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2. 개인 탄식시
2.1. 개인 탄식시의 구조와 특징
개인 탄식시의 구조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개인 탄식시는 개인이 가족이나 천척과 함께 마을 성소에서 드린 예배에서 사용된 것으로, 궁켈은 개인탄식시가 39개 있다고 보았다"" 이 시들은 병, 무고한 피고인, 피난처가 필요한 자, 무자식 등의 상황에서 기도자가 하나님께 탄식과 간구를 드리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인 탄식시의 일반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부름 - '여호와여' + '나의 말에 귀를 기울이소서'(도입적 간구) 로 시작한다""
2) 탄식 - '왜' '언제까지' 등의 표현을 통해 기도자가 하나님을 문책하는 분위기를 보인다"" 이는 기도자가 하나님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역설적으로 드러내며, 기도자의 곤경이 얼마나 중한지를 대비시킨다""
3) 신뢰고백 - 탄식 후 하나님께 대한 기도자의 신뢰를 고백하는데, '그러나' '그럼에도'로 전환되며 갑작스런 신뢰로 분위기를 전환한다"" 이는 기도자의 상황이 변화되지 않았어도 '그러나' 신뢰하겠다는 고백이다""
4) 간구 - 탄식 후 기도자의 간구로 자신의 운명을 전환해 달라고 간구한다"" 여기에는 구체적인 이유를 들어 하나님을 설득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5) 찬양약속 - 간구에 응답하면 찬양을 드리겠다는 약속으로 탄식시가 감사시로 전환된다""
따라서 개인 탄식시는 불신앙의 표현이 아니라, 간구를 위해 탄식하는 것이며 신뢰고백과 찬양을 통해 하나님에 대한 풍성한 신뢰와 믿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2.2. 개인 탄식시의 핵심 주제
개인 탄식시의 핵심 주제는 다음과 같다:
개인 탄식시는 개인이 가족이나 천척과 함께 마을 성소에서 드린 예배에서 사용된 시이다. 개인 탄식시의 주요 주제는 병, 무고한 피고인, 피난처가 필요한 자, 무자식 등의 고난과 환난이다. 개...
참고 자료
BHS § 1168.86.6a.
마빈 E. 테이트, 손석태 역, 『시편(중)』 WBC성경주석 (서울:솔로몬, 2009)
김정우, 『시편주석Ⅱ』 (서울:총신대학교출판부, 2005), 703.
박윤선, 『시편 (중)』 구약주석 (서울: 영음사, 1966), 737.
윌리엄 L. 할러데이, 손석태·이병덕 역, 『구약성경의 간추린 히브리어, 아람어사전』 (서울: 솔로몬, 2015), 520.
R. 레어드 해리스 외 40명, 번역위원회, 『구약원어신학사전(상)』 (서울: 요단출판사, 1986). 381.
김정우, 『시편주석Ⅰ』 (서울:총신대학교출판부, 2009), 118-119.
트렘퍼 롱맨 Ⅲ, 한화룡 역, 『어떻게 시편을 읽을 것인가?』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89), 26-27.
앨런 로스, 전광규 역, 『시편』 BKC강해주석 시리즈 (서울: 두란노 1994), 18-19.
제임스 L. 메이스, 신정균 역, 『시편』 목회자와 설교자를 위한 주석 시리즈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51-62.
김희석, “시가서1강 시가서서론”, 「총회신학원 시가서 강의안」 (2017), 1.
매튜 헨리, 박근용 역, 『시편(중)』 매튜헨리주석 시리즈 (서울: 기독교문사,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