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두 교수요목이 갖는 공통적인 문제점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예를 들어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
1.2. 두 교수요목의 공통적인 문제점
2. 문법적 교수요목의 특징
2.1. 규칙과 형태 학습
2.2. 분석적 접근
3.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
3.1. 의사소통 능력 강조
3.2. 상황 기반 학습
4. 두 교수요목의 공통적인 문제점
4.1. 실제 의사소통 부족
4.2. 학습자 흥미 저하
4.3. 학습의 균형 부족
5.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5.1. 통합적 접근
5.2. 실제 상황 연습
5.3. 교사의 피드백
5.4. 문화 교육 포함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이다. 문법적 교수요목은 언어의 구조와 규칙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구성한다. 규칙과 형태 학습을 통해 언어의 기본적인 틀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분석적 접근으로 언어의 구조를 깊이 이해하게 한다.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은 언어의 의미와 기능을 중시하며,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강조한다. 상황 기반 학습으로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필요한 표현과 어휘를 학습하여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유발한다.
1.2. 두 교수요목의 공통적인 문제점
두 교수요목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실제 의사소통 부족, 학습자 흥미 저하, 학습의 균형 부족이다.
문법적 교수요목은 규칙과 구조에 지나치게 집중하여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연습이 부족하다.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은 이론적이거나 추상적인 접근이 많아 실제 언어 사용의 객관적인 정확성을 저해한다.
두 교수요목 모두 지나치게 형식적이거나 규칙 없이 진행되어 학습자의 흥미를 잃게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측면에 치우쳐 균형 잡힌 언어 능력 기르기 어렵다. 문법적 교수요목은 유창성을,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은 정확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2. 문법적 교수요목의 특징
2.1. 규칙과 형태 학습
규칙과 형태 학습은 문법적 교수요목의 주요 특징이다. 문법적 교수요목에서는 언어의 규칙과 형태를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동사의 변화형, 명사의 격변화, 문장의 구조 등을 학습하여 언어의 기본적인 틀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의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자 자신의 실수를 인식하고 이를 수정해 나가는 과정에서 더욱 높은 수준의 문법적 교수요목을 습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어 학습자들이 문법적 교수요목을 효과적으로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2.2. 분석적 접근
분석적 접근은 문법적 교수요목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학습자들은 문장을 분석하고 문법적인 요소들을 식별하는 과정을 통해 언어의 구조를 깊이 이해하게 된다. 이는 언어의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촉진한다. 문장을 분석하고 문법 요소를 파악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의 구조를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문장 구조에 대한 분석적 접근은 학습자가 언어를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결과적으로 분석적 접근은 학습자가 언어의 논리성과 체계성을 깊이 이해하...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이미지(2023), 진흥원격평생교육원
한국어 교재의 문법 교수요목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최은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273-311)
한국어 교재론, 서종학, 이미향, 박진욱 (2017), 한국문학사
이미지(2020), 외국어로서의 학국어 교재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안용준(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외(2017).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2. 아카넷
서종학 외(2010), 한국어 교재론. 태학사
한재영 외(2011), 한국어교육용어 해설, 신구문화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55),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