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간호 담낭염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1.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정의
1.2. 담낭의 정의
1.3. 담낭염의 정의
2. 담낭염의 원인
2.1. 급성 담낭염의 원인
2.2. 위험요인
3. 담낭염의 병태생리
4. 담낭염의 증상
4.1. 증상
4.2. 신체검진 소견
5. 담낭염의 진단
6. 담낭염의 검사
7. 담낭염의 치료 및 간호
7.1. 내과적 관리
7.2. 외과적 관리
8. 담낭염의 경과 및 합병증
9. Case Study
9.1. 일반사항
9.2. 신체검진
9.3. 검사결과
10. 간호과정 적용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정의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복강경(laparoscope)을 이용하여 복강에 경피적으로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뚫어 담석(biliary stone)을 담낭(gallbladder)채로 적출하는 수술이다. 환자는 배를 위로 하고 눕는 앙와위 자세(Supine position)로 눕고, 전신 마취를 위한 약제 투여 및 기관 삽관 후 복부를 소독하여 무균 상태로 만든다. 복강경의 경우 투관침의 개수는 3개 혹은 4개를 이용하며, 복강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담낭의 상태를 확인한 뒤 담낭관과 담낭동맥을 결찰하고 담낭을 간으로부터 박리하여 담낭을 제거한다. 제거된 담낭은 복강경용 투관 침 상처를 이용하여 몸 바깥으로 빼내고, 투관 침으로 뚫었던 상처는 봉합한다. 만약 이전 수술력으로 복부 내 유착이 너무 심하거나 질환 자체가 너무 진행하여 심한 상태여서 복강경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안전한 수술을 위해 개복 담낭절제술로 전환하여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1.2. 담낭의 정의
담낭(gallbladder)은 간 아래쪽에 붙어 있는 길이 약 7~10cm 정도의 기관이다. 용적은 약 40~70ml 정도로 공복 시에는 증가하고 식후에는 담낭의 수축 작용으로 용적이 감소한다. 담즙은 보통 간에서 생성되고 분비되어 십이지장(샘창자)으로 배출되며, 이 담즙에는 소화 효소가 포함되어 있어 주로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담낭은 담즙을 6~10배 정도 농축시키고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식사를 시작하면 담즙은 30분 내에 전부 방출되어 버리고 그 후에는 간에서 분비되는 엷은 담즙이 직접 분비된다.
1.3. 담낭염의 정의
담낭염은 담낭벽의 염증을 말한다. 담낭은 흔히 쓸개라고 불리는 장기로, 간 아래쪽에 붙어있는 7~10cm 길이의 주머니이다. 용적은 30~50mL 정도이고, 담즙을 농축시키고 저장하는 역할과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보내서 지질의 소화 흡수를 돕는 역할을 담당한다. 담낭염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협착이 발생하여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내에서 증식하면서 담낭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담석이 지속적으로 담낭벽을 자극할 경우 만성 담낭염이 생길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이 반복되어 만성 담낭염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지만, 만성 담낭염 환자의 대부분은 급성 담낭염의 병력이 없고 비특이적 통증만 나타나거나 무증상이다.
2. 담낭염의 원인
2.1. 급성 담낭염의 원인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이 급성 담낭염의 일반적인 원인이다. 그러나 환자의 5~10%는 비담석성 담낭염으로, 수술 시 담관을 폐쇄시키는 담석이 발견되지 않는다. 담석 고위험 집단은 여성, 40대 이상, 비만, 경산부이다. 에스트로겐 증가로 콜레스테롤 흡수가 증가하는 등의 이유 때문이다. 급성담낭염의 예방 가능한 주요 위험요인은 좌식 생활 습관과 비만이다. 따라서 환자의 활동 정도를 증가시키고 저지방식이를 한다면 담낭염의 위험요인이 적어질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의 약 5~10%에서 수술에서 담석이 발견되지 않고, 이들의 약 50%는 염증의 원인이 분명하지 않다. 이는 급성 담낭염의 임상 양상이 나타나지만 담석이 증명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다른 중증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담석증에 비해 진단과 치료가 어렵다.급성 담낭염의 90% 이상은 담석 또는 슬러지(침전물)로 인한 담낭관...
참고 자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1. 수문사
조경숙 외(2013) 제 6판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하) medical-surgical nursing 제 9판. 현문사
이영휘 외. 제8판 성인간호학 2. 정담미디어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 2, 현문사 ‘욕창’
네이버 지식백과 ‘담낭염’ + 사진
Google ‘복강경 담낭 절제술’ 사진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21.02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21.02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2024.01.15.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Ⅱ 7th Edition, 수문사
장은희 외, 기본간호학Ⅰ,Ⅱ, 현문사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약학정보원 : http://www.health.kr/
킴스온라인 : 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