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위험사회와 미래직업
21세기는 위험사회이다. 만성적인 저성장의 시대로 기업이나 개인이나 성장의 한계를 경험하고 있다. 대부분의 산업 분야는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했으며, 새로운 사업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4차 산업 분야는 대부분 고도의 기술 의존성을 보이고 있어서 이 산업이 발달한다고 해서 이것이 인간에게 양질의 일자리, 많은 일자리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예를 들어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에 온라인쇼핑이나 배달 어플 같은 것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기업의 컴퓨터 프로그래머(개발자)에 대한 수요가 늘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개발자가 과거 1960-70년대 경제 개발 시기처럼 수십 만 명씩 필요한 것은 아니었다. 현대 사회는 분명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기술이 발전했고, 인간은 그 기술 발전의 혜택을 누리며 살고 있지만, 인간은 끊임없이 쫓기고 위협을 당하고 있다. 기계와 기술의 일자리 위협, 저성장의 압박, 무한 경쟁과 불안정성이 인간을 위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직업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위험 사회에서는 직업에 대한 접근을 달리할 필요가 있는데, 앞으로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며, 그 직업을 위해 어떤 계획을 세울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위험 사회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미래 사회에서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먹거리 생산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1.2. 현대 사회의 위험 요인
현대 사회의 위험 요인은 많은 부분에서 드러나고 있다. 첫째, 만성적인 저성장의 시대로 기업이나 개인이나 성장의 한계를 경험하고 있다. 대부분의 산업 분야는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했고, 새로운 사업을 찾기는 어려워졌다. 4차 산업 분야는 대부분이 고도의 기술 의존성을 보이고 있어서 이것이 발달한다고 해서 양질의 일자리와 많은 일자리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온라인쇼핑이나 배달 어플과 같은 분야에서 수요가 늘었지만, 이로 인한 개발자 등 일자리 증가는 과거 경제 개발 시기와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