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응급실 장폐색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장폐색 질환에 대한 이해
2.1. 장폐색의 정의 및 특성
2.2. 장폐색의 증상
2.3. 장폐색의 원인
2.4. 장폐색의 진단 검사
3. 장폐색 환자의 간호
3.1. 간호 사정
3.2. 간호 진단 및 목표
3.3. 간호 계획 및 중재
3.4. 간호 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장폐색증은 중증 질환 중 하나이다. 장폐색증은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장폐색증의 주요 증상은 복통, 구토이며 이로 인해 수분 결핍과 전해질 불균형 증상이 단시간에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장폐색증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응급실에서의 체계적인 간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장폐색 질환에 대한 이해
2.1. 장폐색의 정의 및 특성
장폐색은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장폐색에는 기계적인 원인으로 장이 막히는 경우(기계적 장관 폐쇄)와 장의 운동이 중지되어 기능적으로 폐쇄되는 경우(마비성 장폐쇄)가 있다. 기계적 장관 폐쇄는 주로 수술 후 장 유착, 장 종양, 탈장, 장중첩 등에 의해 발생하며, 마비성 장폐쇄는 복막염, 급성 췌장염, 수술 후 등 장 외 질환의 영향으로 장 운동이 저하되어 나타난다. 장폐색의 경우, 폐색된 부위 상부로 장 내용물과 가스가 쌓이면서 복부 팽만,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장벽 괴사로 인한 천공 및 패혈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폐색 환자의 신속한 진단과 함께 내과적 치료 및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2.2. 장폐색의 증상
장폐색의 대표적인 증상은 복통과 구토이다. 복통은 처음에는 폐색된 부위에만 있다가 점차 배 전체로 퍼지게 되며, 폐색된 부분 위로 장 내용물이 차게 되어 오심, 구토의 증상이 발생한다. 상부 장폐색의 경우 분출성이며 황갈색의 담즙을 포함한 구토가 급격히 발생하며, 구토로 인해 수분 결핍과 탈수 증상이 단시간에 악화된다. 하부 장폐색의 경우 점진적으로 오렌지 및 갈색의 구토를 하게 되며, 대변과 같은 냄새가 날 수 있다. 또한 구토 후 통증이 완화되는 경우도 있다. 통증은 지속적인 급성 통증이 나타나며 복부팽만이 점차적으로 증가...
참고 자료
김정아 외(2018). Pacific Medical Sugical Nursing 성인간호학Ⅰ, Pacific Books
박은영 외(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http://www.snuh.org/
두산백과, 장폐색 [intestinal obstruction, 腸閉塞], http://www.doopedia.co.kr
드럭인포, www.druginfo.co.kr/index.aspx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이은남 외. (2014). 핵심 응급간호. 정문각
권영은 외. (2015). 응급간호학. 포널스
이옥철 외. (2010). 응급 및 재해간호. 현문사
송경애 외. (2013).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 수문사
이경희 외. (2015). 정신건강간호학. 퍼시픽북스
차영남 외. (2013). NANA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원종순 외. (2012).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킴스 온라인)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Herlihy,B.(2011).알기 쉬운 해부 생리.서울시 마포구:정담미디어
Berman,A.(2015).기본 간호학.서울시 강남구:현문사
Lewis,S.(2017).성인 간호학.서울시 강남구: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