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억울함의 정서적 표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의 의미와 속성
1.1. 한의 정의와 특성
1.2. 한의 변화과정
2. 한을 해소하는 방법
2.1. 세월에 따른 자연적 해소
2.2. 참음과 신앙을 통한 해소
2.3. 다양한 문화적 표현을 통한 해소
3. 분노감정의 특성과 조절
3.1. 분노 감정의 유발 요인
3.2. 분노 표출의 방식
3.3. 바람직한 분노 조절 방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의 의미와 속성
1.1. 한의 정의와 특성
한은 일반적으로 원한과 같은 것으로 보이며, 일차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한 공격성인 복수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달리 중국, 일본에서는 복수가 주요한 윤리 개념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는 보은과 같이 인간의 기본 덕목 중 하나인 의리의 개념으로 작용한다. 복수를 덕목으로 여기는 문화권에서는 한을 맺고 푸는 것이 이원대립적인 문제로 이루어진다.
한은 몹시 원망스럽고 억울하거나 슬프고 안타까워 응어리진 마음이라는 뜻이다. 이원대립적인 개념의 결과로 인하여 삶에 대한 성찰을 얻게 되기도 한다. 한이 쌓였다 또는 한이 깊다는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쌓인 한은 맺히고 서려서 응고된 상태가 되는데 한은 밖으로 분출하기보다는 안으로 응고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은 지속적으로 슬픔, 갈등, 불만 등의 부정적인 정서로만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를 겪게 된다. 애초의 불안, 근심, 걱정 등이 증오, 분노, 체념, 좌절 등으로 변화하다가 상황에 순응하며 자신의 감정을 주변에 용해시키게 된다.
1.2. 한의 변화과정
한의 변화과정은 다음과 같다.
한은 초기에는 원한과 같은 개념으로 보여졌으나, 점차 그 의미가 변화해왔다. 한은 몹시 원망스럽고 억울하거나 슬프고 안타까워 응어리진 마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한의 개념은 중국, 일본과 다르게 복수나 보복의 의미가 약하고 오히려 자기 내부에 응어리져 있는 정서적 특성이 강했다.
한이 쌓였다 혹은 한이 깊다는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듯, 한은 밖으로 분출한다기보다는 안으로 응고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은 지속적으로 변화를 겪게 되는데, 애초의 불안, 근심, 걱정 등이 증오, 분노, 체념, 좌절 등으로 변화하다가 상황에 순응하며 자신의 감정을 주변에 용해시키게 된다.
즉, 한은 원한과 복수의 개념에서 점차 자기 내면에 응어리진 감정으로 변화해왔으며, 이러한 감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감정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2. 한을 해소하는 방법
2.1. 세월에 따른 ...
...
참고 자료
김원필, 2019, 살풀이춤에 드러난 ‘한’의 역동성에 관한 고찰, 국제문화연구, 12권 1호, p.37~38
[김영수의 의외로 쓸모있는 개념어 사전] ‘헬조선’과 한(恨)민족, 김영수, 이코노믹리뷰, 2017.03.13.
민성길 외, 1997, 한(恨)에 대한 정신의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6권 4호, p.609
김계현, “인성교육의 일환으로서 분노 및 미움 정서의 인식과 조절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대논총 (1998)
이승연, “억울함의 정서적 구성요소 탐색”,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