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사회복지 실천 모델 사례 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학교사회복지 실천 모델
2.1. 전통적 임상모델
2.2. 학교변화모델
2.3. 지역사회 학교모델
2.4. 사회적 상호작용모델
2.5. 학교-지역사회-학생관계모델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학교는 학생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그들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은 입시 위주의 지식 교육과 생활 지도에 편중되어 있어, 학생들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를 야기하고 잠재력 개발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학교사회복지는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고 치료함으로써 교육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전문적인 활동이 되어야 한다. 학교사회복지 실천 모델에는 전통적 임상모델, 학교변화모델, 지역사회 학교모델, 사회적 상호작용모델, 학교-지역사회-학생관계모델 등이 있다.
이러한 모델들은 학교 교육의 문제 원인을 점차 학생 개인이나 가족에서 학교, 지역사회, 그리고 그들 간의 관계 속에서 찾아가고 있다. 학교사회복지사는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전문적인 관계를 맺으며, 학생들이 겪는 문제를 이해하고 미리 예방하며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어야 한다.
2. 학교사회복지 실천 모델
2.1. 전통적 임상모델
전통적 임상모델은 정신분석, 자아심리학 등에 근거한 모델로 학생의 문제가 학생이나 가족 또는 이들 모두의 역기능적인 어려움 때문에 발생한다고 본다. 학생의 부적응, 학습부진, 학교생활문제의 원인이 학생이나 가족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사는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갖고 있는 개별학생이나 가족에 대해 개입하여 문제의 원인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활동한다. 예를 들어 등교를 거부하는 A는 학교에서 문제아로 취급되고 있었는데, A의 부모님이 1년 전 이혼하여 A가 조부모님과 함께 살면서 돌봄을 받기 어려운 가정환경에 있었다. 이러한 A의 가정 환경 문제를 파악하여 상담하고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기술 훈련을 하는 등 A에 가족환경의 변화를 이끌어냄으로써 A도 달라지게 되었다. 이처럼 전통적 임상모델은 학생이나 가족에게 있는 문제의 원인을 해결하고자 개별적인 상담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2.2. 학교변화모델
학교변화모델은 학생의 문제가 학교의 역기능적 규범과 조건에서 비롯되었다고 가정한다. 학교 조직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원들이 학생들의 교육 목표 달성에 적절한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고, 교칙과 학교운영방침은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예를 들어, 종교사학인 A 고등학교에서는 ...
참고 자료
김상곤,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이해」, 복지동향10 참여연대, 2005.
성민선 외,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유해숙, 학교사회복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학교사회복지/유해숙/한국방송통신대학교/2015
학교사회복지론/진혜경/창지사/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