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예멘 난민들이 제주도로 들어오면서 논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문화적 상대주의
2.2. 자민족중심주의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1992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과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에 가입하면서 국내적 이행조치로 1993년 12월 10일부터 출입국 관리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 이후부터 국내법에 따라 난민을 수용하는 제도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난민이 점차 증가하는 것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아시아 국가 최초로 2012년에는 독립된 난민법을 제정했으며 2013년 7월부터 이를 통한 난민심사와 관련된 지원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이미 난민 관련 제도적 장치는 마련되었지만 현실에서는 난민을 받아들이는 것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2017년 12월, 대부분 미혼 남성으로 구성된 약 500여명의 예멘 난민들이 관광을 목적으로 했을 때 무비자 입국을 할 수 있는 제주도에 도착했다. 이들은 제주와 쿠알라룸푸르 직항노선이 만들어진 뒤에 말레이시아를 거쳐 들어온 예멘 난민들이었다. 이들은 말레이시아에서 장기체류중 체류 기간이 종료되자 난민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무비자지역인 제주도로 오게 된 것이다. 2018년 1월부터 6월말까지 약 561명의 예멘인들이 무비자를 이용해 제주도에 왔고 549명이 난민 지위를 신청했다. 이에 따라 법무부에서는 당해 4월 30일 제주도를 떠나지 못하도록 출도 제한 조치를 취했다. 일부 사람들이 제주도에서 떠나가거나 여러 이유로 출도가 허용되면서 결국 484명의 예멘인들은 제주도에서 난민심사를 받게 되었고 제주도에서 갑작스럽게 많은 예멘인이 난민 지위를 신청하면서 정부는 2018년 6월 예멘인에 대한 제주도 무사증입국을 중지시켰다. 이처럼 500여명의 예멘인이 난민신청을 한 것은 사회의 ...
참고 자료
최수지, 2020, 한국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다양성 정책,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p.12~18
자오루이, 2011, 자민족중심주의가 국가이미지와 외국 브랜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p.4~5
제주도에 온 예멘 난민 500명, 무슬림 혐오에 내몰리다, 박수진, 한겨례, 2018.06.18.
유진이(2015). 사회학개론. 서원각.
김성규, 김형길, 배형석(2018).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석인석, 황기식(2019). 제주 예멘 난민사태와 인간안보: 사회통합방안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 https://www.dokdok.co/doldol/s1-8-2
유레카 편집부(2020), <난민, ‘세계는 하나’라는 거짓말>, 디지털 유레카
위더스평생교육원 사회학개론 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