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표현교육론- 말하기 내용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이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표현교육론의 필요성
1.2.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
1.3. 연구 목적 및 내용 구성
2. 말하기의 정의 및 특성
2.1. 말하기의 개념
2.2. 말하기의 언어적, 비언어적 특성
2.3. 말하기 능력의 구성요소
3.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
3.1. 발음과 억양 교육
3.2. 정확성과 유창성 기르기
3.3. 의사소통 능력 향상
3.4. 상호작용 기술 교육
4. 말하기 교육의 실제
4.1. 말하기 교육 모형
4.2. 말하기 활동 유형
4.3. 교수학습 방법
5. 결론 및 제언
5.1. 연구 요약
5.2.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
5.3. 향후 과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표현교육론의 필요성
한국어표현교육론의 필요성이다. 최근 한류열풍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의 경우 한국어의 어의(語意)표현이 매우 다양하여 배우기가 힘들다고 한다. 또한 모음의 ㅏ와 ㅓ에 따라 그 뜻이 완전히 바뀌게 되니 정확한 어의 쓰임이 요구된다. 필자도 실제로 한국어의 쓰임을 완벽하게 100% 구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어떤 글을 문장을 작성해 놓고도 전체적으로 문맥이 맞지 않아 한참 고민하고 수정하고 있다. 즉, 주어, 형용사, 동사 등이 일목요연하고 체계적으로 작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문맥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문장이 전하고자하는 의도를 상실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논문 작성시 참고문헌을 적는 순서가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되어 있어야 하는데 뒤죽박죽으로 기재하여 혼란을 가져오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단락의 구조와 구성 방식에 있어서도 간결하고 명확해야 하는데 그러한 기능을 상실하여 혼선을 야기하게 되면 글을 읽는 독자입장에서는 문장을 이해하는데 곤란을 겪기도 한다. [1,2,3]
1.2.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
말하기는 평소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하면서 보내는 시간의 약 3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4가지 언어 능력 중에서도 말하기가 가장 중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어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교수법에서 말하는 한국어 능력은 단순히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서 음성 언어를 사용하여 과제를 성공적이고 올바르게 수행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언어 기능에 비해 말하기 능력이 크게 강조되며, 말하기 교육이 한국어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말하기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실생활에서 한국어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되며, 한국의 문화와 역사 등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처럼 말하기 교육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더불어 한국에 대한 이해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1.3. 연구 목적 및 내용 구성
한국어표현교육론의 필요성과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있어서 가르쳐야 할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으로 발음과 억양을 제시하고자 한다. 발음과 억양은 의사소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개별 음소의 정확성보다는 전반적인 발음 기능 습득이 중요하다.
둘째, 정확성과 유창성을 기르는 교육 내용을 다룬다. 문법 교육을 통해 정확성을 기르되, 기계적인 반복 훈련이 아닌 의사소통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유창성은 의사소통 능력의 핵심이므로, 이를 기르는 방안도 함께 제시한다.
셋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문법적 능력, 담화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전략적 능력 등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를 구체화한다.
넷째, 상호작용 기술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말하기 능력 향상이 가능함을 설명한다.
이와 같이 말하기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균형 있게 다루어 외국인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한국어 말하기 능력 신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2. 말하기의 정의 및 특성
2.1. 말하기의 개념
말하기의 개념은 음성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 느낌, 정보 등을 표현하는 활동이다. 표현에 있어 음성 언어와 비언어적 요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언어적 의사소통은 의미의 매체를 활용한 음성 언어이고 비...
참고 자료
공용, 레포트, 글쓰기 올바른 표기형태
김다은, 『발칙한 신조어와 문화 현상』, 작가, 2006
정진수, 『컴퓨터 통신언어 연구』, 역락, 2005
이승주, “올바른 언어생활을 위한 맞춤법 표기 및 표준어 사용 실태조사 연구”, 1994
송인성, 교재 “2주차 한국어 정서법 개관”
이주행,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론, 역락, 2011. 9.15.
권재일,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2012. 12. 26.
박덕유, 이옥화, 송경옥, 한국어 문법의 이론과 실제, 박문사, 2013. 2. 28.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