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회전근개증후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회전근개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1.1. 회전근개(Rotator Cuff) 정의
1.2. 회전근개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정의
1.3. 원인
1.4. 증상
1.5. 진단
1.6. 치료
1.6.1. 비수술적 치료
1.6.2. 수술적 치료
1.7. 간호중재
1.7.1. 수술 후 간호
1.7.2. 수술 후 재활운동
1.8. 경과 및 합병증
1.9. 예방 및 관리방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회전근개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1.1. 회전근개(Rotator Cuff) 정의
회전근개(Rotator Cuff)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어깨관절의 앞, 뒤와 상부를 싸고 있는 네 개의 근육 및 힘줄을 말한다. 이 네 개의 근육은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견갑하근(Subscapularis), 소원근(teres minor)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근육들은 관절 외에서 상완골두가 안정을 이루도록 돕고, 상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때 외전과 회외운동을 돕는 기능을 한다. 또한 어깨 외전 동안 천와강에서 상박골 두부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전근개가 퇴행성 변화나 낙상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1.2. 회전근개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정의
회전근개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은 회전근개에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 및 외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넓은 범위의 질병군을 포함하는 증후군이다. 회전근개 증후군에는 견관절 충돌 증후군, 윤활낭염, 회전근개 건염, 회전근개 파열 및 회전근개 파열 관절병증이 포함된다.
회전근개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어깨관절의 앞, 뒤와 상부를 싸고 있는 네 개의 근육 및 힘줄로 이루어져 있다. 이 4개의 근육인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견갑하근(Subscapularis), 소원근(Teres Minor)은 어깨 관절의 회전운동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근개 증후군은 이러한 회전근개 부위의 손상이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1.3. 원인
회전근개 증후군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운동에 의해 근육이나 힘줄의 과도한 사용이나 힘을 가했을 때 생기는 염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어깨관절과 회전근개 힘줄 사이의 활막의 자극이나 염증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면 염증을 악화시키고 만성적으로 근육이 퇴행하거나 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나이가 증가하면 회전근개의 근육이나 힘줄의 퇴행성 변화로 파열될 수 있다.
좋지 않은 자세를 취하거나 팔을 딛고 넘어졌을 때,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머리 위쪽으로 팔을 많이 올리면 회전근개 근육이나 힘줄에 스트레스를 주어 염증과 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야구투수나 수영선수, 테니스선수나 목수 등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다.
1.4. 증상
...
참고 자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6
김금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2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http://www.khmcpharm.com/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자생한방병원 http://www.jaseng.co.kr/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http://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69 (서울아산병원)
성인간호학1,2 (수문사)
https://www.ulsanjoongang.co.kr/06hpc/hpc1602.htm (울산중앙병원)
기본간호학 1,2 (현문사)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대한진단검사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