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세포 호흡 관찰
1.1. 실험 목적
세포 호흡에 관한 실험을 통해 살아 있는 세포 내 에너지 대사를 이해하는 것이다.""
1.2. 실험 재료 및 방법
''양배추 잎, 50ml 튜브, 메틸렌블루 용액, 증류수''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배추 잎을 2 cm 크기로 잘게 자른다. 둘째, 50ml 튜브에 5ml의 증류수와 100ul의 메틸렌 블루 용액을 넣고 잘게 자른 양배추 조각을 넣는다. 셋째, 메틸렌 블루 용액의 푸른색이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이 때 공기 중의 산소 때문에 튜브의 액체 표면은 항상 푸르게 보이므로 수면과 조직이 가라앉은 맨 아랫부분의 사이를 관찰한다. 넷째, 대조실험으로 양배추를 15분간 중탕하고,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1.3. 실험 결과
용액의 색깔 변화 결과에 대한 이미지와 결과에 대한 설명 (사진1) 왼쪽부터 EP tube에 생 양배추, 중탕한 양배추, 물 그리고 메틸렌블루 용액을 각각 넣은 후, 용액의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생 양배추를 넣은 EP tube에서는 조금 연해진 색깔이 양배추 부근에서 나타났지만 전체적인 색깔은 거의 변화를 알아볼 수 없었다. 하지만 끓인 양배추와 증류수를 넣은 EP tube에서는 메틸렌블루 용액의 색 변화가 전혀 드러나지 않았다.
1.4. 실험 토의
실험 토의에 따르면, 양배추를 잘라 튜브에 넣을 때 양배추가 튜브의 너비에 비해 크면 용액에 잠기게 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양배추 시료를 준비할 때는 튜브의 너비를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자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양배추를 중탕하는 것은 세포 내 단백질을 파괴하여 세포호흡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중탕하지 않은 양배추를 사용한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세포 호흡이 용액의 색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효모를 이용한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양배추의 세포 호흡 뿐만 아니라 다른 미생물에서의 호흡이 일어나는 것도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 밖에도 메틸렌블루의 성질을 이용한 추가 실험을 통해 산화-환원 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1.5. 추가 실험 제안
추가 실험 제안으로 효모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효모는 무산소 호흡과 (유)산소 호흡을 모두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관찰하는 실험을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자형 발효관을 이용하여 에탄올 발효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발효관에 물과 효모, 포도당을 넣고 산소 공급을 차단하면 효모가 무산소 호흡을 하여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을 발생시킨다. 이산화탄소는 물에 잘 녹지 않아 기포가 생성되어 물의 높이가 내려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효모의 무산소 호흡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산소를 공급하여 효모의 유산소 호흡을 관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효모를 이용한 실험을 추가로 진행함으로써 양배추의 세포 호흡 외에도 다른 미생물의 호흡을 직접 확인해볼 수 있을 것이다."
2. Barr body 관찰
2.1. 실험 목적
Barr body 관찰의 실험 목적은 Barr body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구강 내 세포에서 Barr body의 유, 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2.2. 실험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광학 현미경, 슬라이드 글라스, 커버 글라스, 이쑤시개, acetocarmine, 이머전오일, 킴테크 와이퍼(렌즈 닦는용)을 사용하였다.
먼저 이쑤시개로 여성과 남성의 뺨 안쪽의 구강 상피세포를 긁어내었다. 그 다음 깨끗한 슬라이드 글라스에 각각의 구강세포를 얇게 펼쳐서 도말하였다. Acetocarmine 시약을 2-3 방울 떨어뜨리고 2분간 기다린 뒤, 커버 글라스를 기포가 생기지 않게 덮었다.
광학 현미경으로 400배와 1000배로 관찰하였다. 400배로 관찰할 때는 먼저 상을 찾고, 1000배 관찰 시에는 대물렌즈를 40배와 100배 렌즈 사이에 갖다 놓았다. 이머전오일을 1-2 방울 떨어뜨린 뒤 100배 대물렌즈로 관찰하였다. 관찰 후에는 킴테크 와이퍼를 사용하여 렌즈의 오일을 닦고, 70% 알코올을 뿌려 한 번 더 닦아주었다.
2.3. 실험 결과
여성의 구강 상피세포 내 barr body를 400배와 1000배로 관찰한 결과, 핵 내 가장자리 부분에 검은색으로 동그란 모양의 barr body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남성의 구강 상피세포에서는 barr bod...